오피니언 사설

[사설] 다시 짙어가는 글로벌 환율전쟁 먹구름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이후 거론돼온 글로벌 환율전쟁 우려가 점점 짙어가는 모양새다. 영국 중앙은행의 마크 카니 총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경제전망이 악화했고 일부 통화정책 완화가 올여름에 필요할 것 같다”고 지적한 뒤 “몇 개월 동안 경제성장을 지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준금리 인하나 추가 양적완화에 나서겠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한 것이다. 자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면 통화 약세를 충분히 이용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의지에 가뜩이나 브렉시트 충격으로 내리막을 타던 파운드화는 1.2%나 추가 하락했다.


영국만 이런 모습을 보인 게 아니다. 중국은 1일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를 0.28% 낮췄고 대만 중앙은행도 전날 기준금리를 1.5%에서 1.375%로 내리는 네 번째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가뜩이나 경기침체 극복 수단으로 환율을 동원하고 싶어하는 각국 정부로서는 브렉시트가 좋은 핑계가 된 셈이다. 문제는 브렉시트로 인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더 많은 국가가 경기부양을 위해 환율에 매달릴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금리 인상이 거론되던 미국에서는 동결을 넘어 인하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행이 이달 말 금융정책 결정회의에서 추가 양적완화를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팽배한 것도 여기서 연유한다.

관련기사



그러잖아도 신보호무역주의의 득세로 글로벌 경제에서 국가이기주의가 갈수록 팽배해지는 형국이다.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의 38%를 차지하는 우리로서는 결코 반갑잖은 소식이다. 이 난국을 극복할 길은 환율이라는 수단을 무력화할 수 있을 만큼 각 분야에서 강력한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내수 기반을 탄탄히 하는 것뿐이다. 산업구조를 미래산업 중심으로 개편하고 기업의 혁신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일이다. 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 구조개혁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