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새만금에 76ha 규모 ‘스마트 바이오파크’ 들어선다

LG CNS, 설비·IT 등 솔류션 공급··농민도 참여 가능

“시설원예 고부가가치화로 해외시장 공략”

스마트 바이오파크 개발계획스마트 바이오파크 개발계획




오는 2022년까지 새만금에 76.2ha(23만 570평) 규모의 스마트 바이오파크(Smart Biopark)가 조성된다. 여기에서 생산되는 고부가가치 시설원예 품목들은 전량 수출길에 오르게 된다.

LG CNS는 11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새만금 스마트 바이오파크 추진 계획’을 밝혔다.


이번에 조성하는 스마트 바이오파크는 전북 군산시 새만금 산업단지 1공구 내 76.2ha 규모다. 스마트팜 실증단지 내에는 첨단온실, 식물공장, R&D 센터, 가공 및 유통시설, 체험 단지 등을 갖춘 복합단지가 들어선다. LG CNS는 재배실증단지에 필요한 설비 및 솔루션 공급과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되, 재배·생산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해외 전문재배사는 실증단지에서 작물 재배를 전담, 계약 재배를 통해 생산된 제품을 해외 선진 대규모 유통사와 연계해 전량 수출하는 것을 전제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스마트 바이오파크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6년 동안에 걸쳐 단계적으로 구축되며 재배실증단지의 경우 수출 물량 확정 규모와 연계해 만들어진다. LG CNS가 설비, 기술, 장비 등 LG 계열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활용할 수 있으나 LG 계열사들의 지분 참여 등의 공동 투자는 하지 않기로 했다.

LG CNS는 해외 투자사와 공동으로 바이오파크 조성과 함께 첨단 시설원예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업지원 서비스 회사’를 합작법인 형태로 설립할 계획이다. 농업지원 서비스 회사는 스마트팜 설비 구축 및 유지보수, 재배 컨설팅, 농업 설비 R&D, 냉난방, 재배 기자재 공급, 물류 및 해외 유통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농업인이 참여를 희망할 경우 새만금 스마트 바이오파크 내 재배 실증 단지에서 경작이 가능하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