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 최적합지, 경북 성주 성산리 유력 …내주 발표”

기존 공군 호크부대는 인근 공군기지로 이동 배치


군사적 효용성·안전·주변국 여건 고려한 ‘최적지’

수도권 방어 위해 신형 패트리엇 배치 추진



경북 성주읍 성산리 일대가 주한미군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지역으로 최종 확정된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한미 양국은 이를 내주 초 발표할 예정이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군사적 효용성 등을 면밀하게 따져본 결과, 공군 방공포대가 있는 경북 성주지역을 최적합지로 결론을 내렸다”라며 “행정적인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해발 약 400m의 고지대에 위치한 공군 성산포대에는 병력 170여명과 대공유도무기인 호크가 여러 대 배치돼 있다. 차량 견인형 호크 미사일 부대는 인근 공군 기지로 이동 배치돼 사드 기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성주읍 성산리 일대가 선정된 것은 군사적 효용성이 높게 평가됐기 때문으로 주택 밀집지역이 아니어서 주민 안전과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해발 400m 고지에 있는 성산포대는 성주읍과 1.5㎞ 떨어져 있다. 성산리에는 1,388 가구, 2,8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성산리에 최대 요격거리가 200㎞에 달하는 사드가 배치되면 평택과 군산의 미군 기자와 충남 계룡대의 육·해·공군본부, 강원도 강릉 인근까지 북한 미사일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사드는 후방으로는 약 100여㎞ 반경의 영역을 방어할 수 있어 부산 등 남부 지역도 방어영역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성주 지역은 특히 사거리 200㎞에 달하는 북한의 300㎜ 신형 방사포의 타격권에서 벗어나 있다. 성주와 가장 가까운 군사분계선(MDL) 지점의 직선거리도 약 250㎞에 달한다. 행정구역상 동해안 쪽에 위치해 중국을 덜 자극하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은 사드의 성주 배치로 인구 밀집지인 수도권 방어가 취약하다는 논란을 불식하기 위해 신형 PAC-3 패트리엇 미사일 포대를 수도권에 증강 배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은 한국군과 주한미군에 배치된 패트리엇으로 방어하고 수도권 이남은 사드와 패트리엇으로 다층 방어한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수도권 공격 무기로는 수백 발의 단거리 스커드 탄도미사일(사거리 300∼1,000㎞)과 6,000여 문에 달하는 방사포가 손꼽힌다. 군 관계자는 “수도권은 북한이 스커드 미사일로 공격할 가능성이 큰데 고도가 낮아 사드보다는 패트리엇으로 요격하는 게 쉽다”고 말했다.

우리 군은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구축 계획에 따라 현재 운용하는 파편형 패트리엇(PAC-2. 요격고도 15∼20㎞)을 올해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 직격형 패트리엇(PAC-3. 요격고도 30∼40㎞)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북한의 방사포 공격 징후에 대해서는 다연장포와 전투기 등을 동원해 공격 원점을 타격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한편 한미 양국은 사드배치를 둘러싼 논란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알리고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다음주 초 태평양 괌 미군기지의 사드 포대를 국내 언론에 공개할 방침이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