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중공업 유상증자 '1조+α' 될듯

회계법인 실사결과에 채권단 "최소 1조 이상 돼야"

고강도 자구 계획을 이행 중인 삼성중공업의 유상증자 규모가 시장에서 예상한 1조원에서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삼성중공업은 최근 삼정KPMG가 삼성중공업의 재무 상태를 정밀 실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증 규모가 최소 1조원 이상은 돼야 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내부적으로도 이미 ‘1조원+α’를 유증 규모로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삼성중공업이 유증 추진 배경으로 밝힌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과 같은 불확실성이 예상보다 크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정KPMG는 삼성중공업에 대한 재무 실사 결과를 주초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전달했다. 실사는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요구로 지난 5월부터 두 달 가까이 이뤄졌다. 삼정KPMG 소속 회계사 10여명이 거제조선소로 내려가 해양플랜트와 일반 선박 등 부분별 수주 상황과 전체적인 재무 현황을 들여다 봤다.

관련기사



실사 보고서를 전달 받은 산업은행은 삼성중공업이 자체적으로 마련해 제출한 1조5,000억원 규모의 자구 계획이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유증 규모에 대해서는 기존에 알려진 1조원이 최소 규모가 돼야 한다는 판단을 내렸다.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1조5,000억원 규모의 자구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와는 별도로 유증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유증 규모가 1조원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은 낮다”면서 “채권은행과 삼성중공업 내부적으로 ‘최소 1조원’이라는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증액 규모 자체가 크지는 않겠지만 1조원 만으로는 삼성중공업이 언급한 ‘불확실성’을 감내하기가 버거울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삼성중공업이 유증을 추진하기로 한 것 자체가 유동성 고갈과 같은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이다.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과 수주 가뭄 지속으로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 대비해 유증을 하겠다는 의미다.

삼성중공업은 호주 익시스 프로젝트를 비롯해 주요 대형 해양플랜트가 지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공정률에 따라 대금이 지급되는 프로젝트 특성 상 공기가 지연되면 삼성중공업의 자금 운용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시중은행들은 삼성중공업의 여신을 연장하면서 만기를 기존 1년이 아닌, 3개월로 끊고 있는 상황이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