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흡연, 난청 발병률 증가시킨다

고려대 구로병원 조사,

흡연자 비흡연자보다 난청 발병률 1.5배 높아

흡연이 노화와 관련된 난청 발병률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은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연구팀과 2010∼2012년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난청 발생 확률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20~30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난청 발생률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40대 이상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난청 발생률은 누적된 흡연기간으로 인해 큰 차이를 보였다.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흡연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내이에 위치한 달팽이관의 모세혈관이 수축하게 돼 달팽이관 내 혈액순환과 산소공급을 감소시켜 난청을 유발하기 쉽다. 또 흡연 시 체내로 흡수된 니코틴 등의 물질이 신경전달물질과 유사하게 작용, 청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거나 만성적으로 손상 시켜 난청을 유발하기도 한다.

관련기사



난청은 초기에는 큰 불편을 못 느끼지만, 점차 심해지면 다른 사람의 말을 잘못 알아듣게 되는 등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활하지 못한 이 같은 의사소통은 사회적 고립 및 자존감 저하로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질환 발병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노인들에게 난청이 지속되면 뇌 인지기능이 저하돼 치매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송재준 고대 구로병원 교수는 “청신경이나 감각세포가 이미 손상됐기 때문에 한 번 발생한 난청은 회복하기 어렵다”며 “금연 외에도 장기간 큰 소리에 노출되는 것은 피하고, 귀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함부로 귀를 파거나 이물질이 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난청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