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건강에 좋다더니...오히려 살 찌게 만든 '이것'은

우리나라 비만 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우리나라 비만 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비만 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외식이 늘고 기름진 음식 섭취율이 늘면서 특히 식용유 등을 통한 식물성 지방 섭취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다.

18일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가 발간한 ‘NH 축경포커스’ 최신호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의 19세 이상 비만 인구 비율은 31.5%였다. 이는 10여년 전인 2001년(30.3%)보다 1.2% 늘어난 것으로 가까운 일본의 비만 인구 비율보다 6.7%포인트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1인당 하루 평균 칼로리 섭취량 역시 성인 하루 평균 권장 칼로리(2,000㎉)를 웃도는 수준인 2,063㎉로 2001년(1,881㎉)보다 10% 가까이 늘었다. 이 수치는 말 그대로 평균 값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칼로리를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변화는 한식 대신 서양식·중식 등 기름진 음식을, ‘집밥’ 대신 외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등 3대 영양소 섭취 비중에서도 탄수화물은 64.5%, 단백질은 14.5%로 각각 1.1%포인트, 0.6%포인트 줄어든 반면 지방은 20.9%로 1.7%포인트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관련기사



1인당 하루 평균 지방 공급량도 2001년 83.9g에서 2014년 98.27g으로 14.37g(17%)이나 늘었다. 전체 지방 섭취량의 70% 가량은 식물성 지방으로, 이 역시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다.

실제 식용유, 팜유 등으로 조리한 음식 종류가 크게 늘면서 2014년 기준 1인당 하루 평균 식물성 지방 공급량은 2001년(58.2g)보다 10g 이상 늘어난 68.5g이었다. 같은 기간 동물성 지방은 25.7g에서 29.8g으로 4g 정도 증가에 그쳤다.

보통 동물성 지방보다 식물성 지방이 건강에 더 좋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나치게 많은 식물성 지방을 섭취하는 것 역시 건강에 해롭긴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황명철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장은 “과거 일본에서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불거졌을 당시에도 식물성 지방이 주범으로 꼽힌 적이 있었는데, 식습관 변화로 우리나라도 비슷한 패턴을 따라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비만·당뇨 예방 차원에서 정부가 ‘설탕과의 전쟁’을 선포하기도 했는데, 절대량이 늘어나는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