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사드 배치해도 美 MD체계와 정보공유 안해"

한민구, 국회 긴급현안질문 답변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20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사드 관련 긴급현안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20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사드 관련 긴급현안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배치돼도 미국 주도의 미사일방어(MD)체계에 편입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20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현안질문에서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가 MD체계 편입이 아니냐”고 묻자 “사드는 한반도 내에서 한국 방어를 위한 체계로 MD와 관련되지 않도록 정보공유를 하지 않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우리나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 정부 시대 이래 MD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정책을 갖고 있다”며 “그 정책에 따라 우리는 북한 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해 MD 참여가 아니라 한국형 KMD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갖고 지금까지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 장관은 사드의 필요성에 대해 재차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김정일 시대 18년 동안 미사일 실험을 20번 정도 했는데 (김정은 시대) 5년 동안 50번이 넘는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북한의 미사일 능력을 고려해 사드를 배치해 두는 것이 국민 생명과 국가 안위를 보장해주는 요소”라고 주장했다.

이어 “매우 높은 수준으로 북한 미사일 요격을 성공시킬 수 있다고 본다”며 “사드가 방어할 수 있는 최대·최적 범위가 필요하고 그런 차원에서 군사적 효용성과 특성을 최대 발휘할 수 있는 차원에서 성주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