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일하는 노인, 노는 청년...60대 취업자 수, 20대 추월

2분기 60대 취업자 398.2만명...20대 378.6만명 격차 최대

60대는 생활비 벌려 일터에...20대는 경기 둔화로 취직 못해



올해 2·4분기 6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0대를 추월했다. 노년층이 생활비를 벌기 위해 취업 전선에 뛰어든 반면 20대는 경기 둔화로 일자리를 얻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2·4분기 현재 60세 이상 취업자는 398만2,000명으로 20대의 378만6,000명보다 19만6,000명 많았다. 60대 이상 취업자는 그간 통계가 잡히기 시작한 지난 1966년부터 2014년 1·4분기까지 항상 20대보다 적었다. 하지만 2014년 2·4분기에 분기 집계로는 처음으로 60대 이상 취업자가 20대를 넘어섰다. 이후 엎치락뒤치락하다 지난 분기에 다시 역전했고 격차도 가장 컸다.


60대 이상은 은퇴를 하고도 자녀 뒷바라지와 가계 부채 부담 등으로 노후 준비를 제대로 못 해 다시 일자리를 찾고 있다. 대부분은 일자리 질이 좋지 않은 비정규직이나 숙박·도소매업 위주다. 올해 3월 현재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전보다 14만7,000명(12.3%) 증가했다. △50대 2.2% △40대 -1.3% △30대 -3.6% 등 다른 연령층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관련기사



반면 20대는 경기 둔화, 기업의 정년 연장 의무화에 따른 신규 채용 축소, 일자리 미스매치 등으로 취업을 못하고 있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6월 10.3%로 6월 기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은 1999년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60대 취업자가 20대를 따돌린 데는 인구 구조 영향도 있다. 2·4분기 60세 이상 인구는 98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47만명 늘었다. 반면 20대는 642만1,000명으로 5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60세 이상의 절대 인구 자체가 많이 늘어나 취업자도 덩달아 불어났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고령층을 위해서는 공공근로사업을 확대하고 고령자들이 은퇴 후 제2의 삶을 살도록 하는 가교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며 “근로능력이 없는 고령층을 위한 복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