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아메리카니즘' 천명...글로벌 질서 대혼란 오나

"美 정치·경제는 지금 위기"

美 공화당 대선후보 수락 연설

자유무역·개입주의 기반한

기존 통상·외교정책 급변 예고

글로벌 무역협정 전면 재협상

이라크·시리아 등 미군 철수땐

중동 질서도 무너질 가능성

힐러리도 대선 레이스 접전땐

美 우선주의 강화 나설수도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로 우뚝 선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우선주의, 즉 ‘아메리카니즘(Americanism)’을 천명했다. 글로벌 무역협상에서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보호무역주의’를 따르고 외교·안보 차원에서는 타국의 갈등에 직접적 개입을 꺼리는 ‘고립주의’를 채택해 세계 정치와 경제를 좌지우지했던 ‘강한 미국’을 부활시키겠다고 선포한 것이다. 이는 이제까지 미국 주도로 만들어진 ‘국제주의’ 질서와 상반되는 것이어서 만약 그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세계 경제·안보질서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선후보가 미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퀴큰론스아레나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마지막 날인 21일(현지시간) 후보 수락연설을 하기 위해 무대에 올라 청중을 가리키며 자신만만한 미소를 짓고 있다.    /클리블랜드=AFP연합뉴스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선후보가 미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퀴큰론스아레나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마지막 날인 21일(현지시간) 후보 수락연설을 하기 위해 무대에 올라 청중을 가리키며 자신만만한 미소를 짓고 있다. /클리블랜드=AFP연합뉴스


트럼프는 21일 발표한 대선후보 수락연설 서두에서 현재 미국의 정치·경제 상황을 ‘위기’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번 공화당 전당대회는 미국이 가장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열렸다”며 “경찰에 대한 공격이 이어지고 미국 내에서 테러가 발생할 우려도 어느 때보다 크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집권 8년 동안 흑인 청년들의 실업률은 수직 상승해 58%에 이르렀고 최빈곤층 라틴계 인구도 200만명 더 늘었다”며 경제상황도 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트럼프는 “이런 상황에서 미국 국민들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지도자인 내가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나의 계획에서 이는 안전한 이웃, 안전한 국경, 테러로부터의 보호 같은 미국의 평화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트럼프가 미국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한 것은 보호무역주의와 고립주의를 기반으로 한 아메리카니즘이다. 그는 자신의 맞수인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그의 남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비판하며 아메리카니즘을 역설했다. 트럼프는 “미국 역사상 최악의 무역협정인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에 서명한 것은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었다”라며 “다시는 미국 경제를 악화시키는 무역협정이 없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또 트럼프는 구체적으로 “힐러리가 국무장관이 되기 전에는 ‘이슬람국가(IS)’가 지도상에도 없었고 이라크·시리아는 통제하에 있었다”며 “하지만 힐러리 재임 4년 이후 IS가 역내는 물론 전 세계로 퍼졌고 리비아는 황폐화됐으며 이집트는 급진 ‘무슬림형제단’의 손에 넘어갔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만약 그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다면 자유무역주의·개입주의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대외경제·안보정책이 180도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그가 내세운 미국우선주의대로라면 미국이 체결했거나 체결할 예정인 글로벌 무역협정들이 완전히 원점에서 다시 시작돼야 하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가 주장하는 고립주의 강화로 미국이 이라크와 시리아 등에서 미군을 철수시킬 경우 현재 간신히 유지되고 있는 중동 질서가 무너질 가능성도 높다.

본선 레이스가 본격화하면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트럼프처럼 미국우선주의 입장을 강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과거 재임시절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전폭적으로 주장하다가 민주당 예비경선을 거치면서 반대 입장으로 급선회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내세워왔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