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면역세포 생성·유지 핵심인자 발견

정용우 고려대 교수팀 참여 연구

독감·메르스 등 백신 개발에 도움

면역세포 생성 및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하는 인자가 새로 발견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정용우 고려대 교수와 수잔 캑 미국 예일대 교수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기억 T세포의 생존에 단백질 ‘CCR7’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24일 밝혔다. CCR7을 없애면 면역세포의 일종인 기억 T세포 생성 및 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유전자를 변형해 CCR7이 없는 T세포를 만들었고, CCR7을 억제한 T 세포는 정상세포보다 더 많은 수의 기억 T 세포들을 생성 및 유지하는 것을 관찰했다. 또 CCR7이 없는 T세포는 세포가 잘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폐와 골수로 많이 이동한다는 점도 파악했다.

관련기사



CCR7을 저해하는 방법으로 백신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기억 T 세포를 보다 손쉽게 활용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억 T 세포의 허파 유입을 늘려 유입 독감, 메르스 등 많은 호흡기 감염 백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 교수는 “연구결과는 호흡기 감염병에 대응하는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과학적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지난 7월 6일자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