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경제TV] 층간소음 없앤 특화설계 아파트 인기

최근 층간소음으로 이웃간 갈등이 커진 상황에서 층간소음 걱정을 최소화한 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서울시 층간소음 전문 컨설팅단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4년 4월부터 최근까지 2년간 서울시에서 층간소음으로 접수된 민원은 모두 1,097건으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기준을 새롭게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300세대 이하 소규모 공동주택에서는 각 층간 바닥충격음인 경량충격음(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8데시벨 이하,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0데시벨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에서도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층간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자체 연구 기능이 강화된 건축자재와 설계 공법을 선보이는 아파트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여러 세대가 한 공간에서 함께 생활이 영위하는 공동주택의 특성상, 층간소음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어 설계단계에서부터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막아주느냐가 관건이다.

더욱이 최근 분양시장의 주수요층으로 어린 자녀를 둔 30~40대가 급부상하면서 층간 소음 문제는 주택 구매 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됐다.

장경철 부동산일번가 이사는 “층간소음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관련 기술이 분양 경쟁력과 미래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됐다”면서 “생활소음을 줄이려는 건설사들의 노력과 경쟁심리는 결과적으로 실수요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높이는데로 연결된다”고 말했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