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리우올림픽]복싱 헤드기어 필요성 논란 재점화

리우올림픽부터 사라진 복싱선수의 헤드기어의 필요성 논란이 거세지고있다 /연합뉴스리우올림픽부터 사라진 복싱선수의 헤드기어의 필요성 논란이 거세지고있다 /연합뉴스


복싱 선수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던 헤드기어가 오히려 뇌 손상을 악화시킨다는 연구로 이번 리우올림픽부터 사라졌다. 그런데 선수들의 잦은 부상으로 다시금 헤드기어의 필요성 논란이 제기됐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때부터 남자 복싱 선수들이 안전을 위해 착용했던 헤드기어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맞아 사라졌다.


헤드기어가 선수들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뇌 손상을 악화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10일 열린 애들란 압두라시도프(러시아)와 레다 벤바지즈(알제리)의 60㎏급 예선 경기는 헤드기어의 필요성 논란을 재점화시켰다.

압두라시도프와 벤바지즈는 경기 중 머리 박치기를 하는 바람에 둘다 오른쪽 눈 윗 부분에 깊이 베인 상처를 입었다. 이 때문에 치료를 위해 경기가 두번 중단되기도 했다.


압두라시도프는 “평소에는 헤드기어를 쓰지 않는 것이 더 편해 선호하지만 오늘은 부정적인 면이 더 많았다”며 “상처가 난 후 불편해서 결국 더 많이 맞았다”고 돌아봤다.

관련기사



벤바지즈는 “압두라시도프가 머리를 많이 써서 다쳤다”며 “하면 안되는 일이라 압두라시도프는 심판으로부터 경고도 받았다”고 상대의 경기 스타일을 탓했다.

이에 대해 압두라시도프는 “벤바지즈가 도망다니면서 긴 팔로 나를 공격했다”며 “그래서 나로서는 가까이 붙을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승자인 벤바지즈는 13일 8강에 나선다.

벤바지즈는 “다음 경기 때는 몸을 덜 썼으면 한다”며 “헤드기어를 쓸 수 있으면 좋겠고, 상대로부터 머리 박치기를 당하지 않게 조심하겠지만 만약 당한다면 내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