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신흥시장 훈풍에도...中 외면하는 글로벌 투자자들

골드만삭스 中주식투자 비중

10년만에 3%P 이상 줄여

6.5% 성장률 목표 ‘통계조작’ 의혹

그림자금융 등 시장 불확실성에

해외M&A 추진 경계감도 한몫

中자본굴기에 위협 느낀 英·濠

중국업체 자국내 투자에 급제동

1515A09 글로벌 펀드 신흥시장 투자 규모 추이1515A09 글로벌 펀드 신흥시장 투자 규모 추이


올 들어 신흥시장으로 글로벌 투자자금 유입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유독 중국 증시는 이 같은 훈풍에서 소외되고 있다. 중국 경제의 성장률 둔화 추세가 지속하고 있는데다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여전한 탓이다. 특히 급증하고 있는 ‘그림자금융’에 대한 잇따른 경고도 중국 금융시장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글로벌 펀드 분석업체인 이머징포트폴리오펀드리서치(EPFR)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 6주 동안 신흥국 주식 투자펀드는 130억달러 순유입을 기록했지만 중국 주식은 오히려 35억달러가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제로 WSJ가 골드만삭스의 뮤추얼펀드 운용자산 1조1,000억달러를 분석한 결과 이들 펀드가 최근 중국 주식 투자 비중을 3.1%포인트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가 중국 시장의 비중을 다른 신흥국에 비해 3%포인트 이상 줄인 것은 10년 만에 처음이라고 WSJ는 밝혔다.

글로벌 펀드의 중국 증시 외면은 중국 관련 지수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시장지수는 올 들어 이달 12일까지 15% 급등했지만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주식들은 1.1% 하락했고 상하이종합지수는 같은 기간 14%나 떨어졌다. 홍콩증시를 통해 중국 본토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이른바 외국인투자가쿼터(RQFII)는 3,000억위안이지만 현재 절반 정도만 겨우 소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중국 시장에서 발길을 돌리는 이유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성장률 둔화 우려를 꼽았다. 중국 증시는 지난해 초반 60% 가까이 폭등한 후 하반기에 40% 이상 폭락했고 연말 반등세 이후 올 초 다시 20% 넘는 급락 장세를 연출하는 등 변동성이 급격히 커진 상태다. 현재 상하이지수가 3,000선 수준에서 오르내리며 바닥을 다지는 과정이지만 단기간에 지난해 여름 최고점을 회복하기는 힘들다는 게 중국 안팎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관련기사



중국 당국이 올해 목표로 내세운 최저 6.5% 성장률 목표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도 여전하다. 중국 당국이 발표한 상반기 성장률은 6.7%로 나타나기는 했지만 시장에서는 통계조작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WSJ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 경제 성장률이 실제 통계 발표치보다 훨씬 악화된 상태일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중국 금융당국의 통제권 밖에서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그림자금융도 투자자들의 우려 요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2일 연례 보고서에서 중국의 그림자금융이 50% 가까이 급증해 40조위안에 이르렀다면서 중국 금융시장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IMF는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은 그림자금융 대출 규모가 19조위안으로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0%에 육박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성장률 회복의 열쇠로 꼽고 있는 해외 인수합병(M&A)에 대한 각국의 견제도 투자자들에게는 부담이다. 해외 M&A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곱지 않은 시선은 결국 중국 기업의 급성장에 대한 반감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국 정부가 겉으로는 안보 등의 이유로 중국 기업의 자국 M&A에 잇따라 딴지를 걸고 있지만 이 배경에는 자국 기업의 경쟁 상대로 부상할 수 있는 중국 기업에 대한 견제심리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1일 호주 정부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뉴사우스웨일스주 산하 배전망 사업체인 오스그리드의 과반 지분을 중국국가전망공사(SGCC)가 인수하는 것에 대해 반대했다. 이보다 앞서 영국은 중국 컨소시엄이 참여하기로 한 자국 원전건설사업에 대해 중국 군수 관련 업체인 중국핵공업집단공사(CNNC)가 투자에 참여한다는 이유로 계획을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