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득 상관없이 난임 시술 지원

정부 '저출산 보완대책'

다음달부터 소득 수준을 불문하고 모든 난임부부에게 시술비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남성 육아휴직 급여는 내년 7월부터 2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다.


정부는 25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저출산보완대책을 확정했다. 보건복지부는 다음달부터 현재 전국 가구 월평균 소득 150%(2인 가구 기준 583만원) 이하인 난임시술 지원 대상을 전 소득계층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난임부부는 소득 수준에 따라 인공수정의 경우 최대 3회 20만∼50만원씩, 체외수정의 경우 최대 3∼4회 30만∼300만원씩 지원받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난임시술 지원 대상자 수는 현재 5만명에서 9만6,000명으로 4만6,000명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 예산은 내년 1∼9월 600억∼65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지원시기를 오는 2017년 9월까지로 한정한 것은 10월부터 난임시술 의료비에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내년 7월부터 연간 3일의 난임휴가제도도 도입한다.

관련기사



또 고용노동부는 부모가 차례로 육아휴직을 쓸 때 두 번째 사용자의 첫 3개월간 통상임금 100%(최대 150만원)를 지원하는 ‘아빠의 달’ 수당을 내년 7월 이후 태어나는 둘째 자녀부터 200만원으로 늘린다. 현재는 150만원 수준이다. 정부는 두 자녀 이상 가구가 국공립 어린이집을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3명 이상 다자녀 가구에는 국민임대주택 입주시 우선권을 부여한다.

정부는 난임시술 지원확대 등의 보완대책 시행으로 내년에 최소 2만명 이상의 아이가 더 태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