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단독] "저금리 파티는 끝났다"... 미국 부동산서 발빼는 연기금

금리인상땐 투자매력 반감

8조 굴리는 행정공제회 700억 회수결정

다른기관에 영향미칠지 주목

행정공제회가 투자한 미국 부동산펀드 소유 워싱턴DC 더포털3(The portals III)행정공제회가 투자한 미국 부동산펀드 소유 워싱턴DC 더포털3(The portals III)


국내 금융투자(IB) 업계가 해외 부동산을 앞다퉈 매입하는 가운데 8조원의 자산을 굴리는 대한지방행정공제회(POBA)가 미국 주요 도시의 빌딩을 핵심자산으로 편입한 부동산펀드에서 발을 빼기로 해 주목된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금리 인상 시사 발언 이후 국내 기관투자가가 미국 부동산시장에서 철수하는 첫 사례다.


6일 IB 업계에 따르면 최근 행정공제회는 미국 워싱턴DC·볼티모어·시카고 등 7개 지역 정부기관들이 입주한 상업 건물을 보유한 개방형 부동산펀드에서 700억원을 회수하기로 결정했다. 총 1조7,000억원 규모로 설정된 이 펀드는 미 정부기관들과 장기간 임차계약을 맺어 경기변동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제공한다. 행정공제회는 지난 2013년 7월 이 펀드에 투자를 집행했으며 지금까지 내부수익률(IRR)은 연 11%에 달한다. 행정공제회는 올해 말까지 환매작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행정공제회가 높은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자금회수에 나선 것은 미국 금리 인상이 단행되면 부동산 투자 자산의 매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 펀드는 금리가 인상돼도 임차료가 고정돼 있어 추가 수익을 얻기 어려운 구조로 알려졌다. 행정공제회의 한 고위관계자는 “금리는 오르는데 임차료를 조정하지 못하면 해당 부동산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이라며 “미국 금리 인상이 예정된 상황에서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기회를 포기하면서까지 부동산 자산을 계속 보유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행정공제회가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두고 부동산 자산 처분에 나서면서 다른 기관투자가들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강유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부동산은 투자수익률이 떨어진다”며 “(행정공제회처럼) 투자자산의 변동성을 낮추기 위해 임차료를 고정한 경우 금리 인상에 따른 매각 필요성이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