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텔레콤, 노키아와 함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검증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기지국을 LTE 상용망에 적용

5G로 통신네트워크 발전하기 위한 기틀 마련

SK텔레콤 연구진들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 연구진들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




핸드폰과 무선신호를 주고받는 기지국 장비가 범용 서버와 소프트웨어로 구현돼 상용망에 첫 적용됐다.

SK텔레콤은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인 노키아와 함께 경기도 분당 SK텔레콤 종합기술원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SDRAN·Software-Defined RAN)을 실제 롱텀에볼루션(LTE) 상용망에 적용하는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SDRAN은 범용 IT 서버를 활용해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을 가상화된 클라우드(Cloud)로 구현한 것으로 데이터 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장거리 전송을 가능하게 했다. 기지국이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스스로 감지해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하고, 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가입자 수와 트래픽 부하에 따라 기지국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번 사례가 통신환경이 5세대(5G)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큰 기여를 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기존의 전용 통신장비는 제조사마다 각각 다른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돼 장비 간 호환이 어렵고 네트워크 운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IT 서버를 채택해 통신 인프라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통신품질 개선 및 네트워크 안정성 역시 향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이번 상용망 검증은 5G의 핵심기술을 LTE 망에서 실증한 획기적인 사례”라며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우수 역량을 보유한 파트너들과 함께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 혁신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