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 대통령 “북 핵은 협상용아닌 급박한 위협. 한반도에 전쟁위험 올수도"

야 “제재와 대화 병행해야” 안보놓고 이견 노출”

"국민 안보불안감 덜어줘야"

1시간55분 동안 여야 3당 대표와 대화

김관진·윤병세·홍용표·유일호 등

안보 및 경제 책임자도 배석

野 "단호한 북핵 대응 큰틀 동의하나 대화도 필요"

"사드 배치에도 반대"

秋는 민생도 강조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청와대로 여야 3당 대표를 초청해 “북 핵과 미사일은 단순한 협박·협상용이 아닌 급박한 위협”이라며 “북한이 추가도발을 예고하고 있는데 한반도에 전쟁위험이 올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동에서 “미국의 핵우산을 포함해 모든 군사적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두 야당 대표는 북핵에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찬성하면서도 “제재와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해서도 분명한 반대 입장을 전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의 회동에서 “안보위기에 대응해 정치권이 한마음으로 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이날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대화는 오후2시에 시작해 3시55분까지 두 시간 가깝게 이어졌다.


박 대통령은 3당 대표에게 “안보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어야 한다”면서 “북한에 대해 경각심을 갖는 문제에서도 우리가 합의를 통해 강력한 의지를 나타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제재와 압박을 강화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하겠다는 박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여야가 협력해달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이 미국의 핵우산을 거론한 것도 주목된다. 이는 자체 핵무장론이나 미국 전술핵 재배치론 등 정치권에서 나오는 적극적 북핵 대응방안에 대해 우회적으로 반대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 이례적으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 외교·안보·통일 책임자는 물론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동석시켰다. 이는 ‘안보·경제 동시 위기’라는 점을 야당 대표들에게 보다 분명히 주지시키는 한편 “민생을 제대로 논의하려면 경제부총리의 참석이 필요하다”는 추미애 대표의 요청에 화답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추미애 대표와 박지원 위원장은 북핵에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동의하나 남북 대화 등 평화적인 문제해결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 모두 김대중(DJ) 전 대통령에게 정치를 배운 햇볕정책주의자이며 특히 박지원 위원장은 DJ정권 시절 대북 특사로 활동해 2000년의 6·15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이와 함께 추미애 대표는 박 대통령에게 민생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는 데 힘을 모아나가자고 제안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