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스팩 상장후 주가 지지부진

올해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와 합병하는 방법으로 증시에 입성한 종목의 수익률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스팩과의 합병으로 상장한 5개 종목의 합병 상장 전날 종가 대비 수익률은 12일 기준 평균 -22.5%로 집계됐다

쎄노텍은 합병 상장 전날 스팩의 종가와 비교해 48.0% 떨어져 낙폭이 가장 컸다. 쎄노텍은 분쇄용 구슬인 세라믹 비드와 용접 재료 소재인 세라믹 플럭스 등을 제조·판매하는 회사로, 미래에셋제4호스팩과 합병해 지난 7월25일 코스닥시장에 입성했다.


썸에이지(-26.5%), 정다운(-16.0%), 지란지교시큐리티(-14.8%), 닉스테크(-6.9%)도 줄줄이 부진을 면치 못했다.

관련기사



작년 같은 기간에 스팩 합병 상장 종목 7개가 평균 15.6%의 수익률을 올린 것과 대조적이다. 물론 당시에도 미래에셋제2호스팩에 흡수 합병된 콜마비앤에이치(291.2%)만 합병 상장 전날 7,108원(미래에셋제2호스팩 종가)에서 3만450원으로 급등했을 뿐 나머지 6개 종목은 합병 상장 전 스팩의 주가보다 상장직후 하락했다. 바디텍메드가 합병 상장 후 53.9% 하락했고 나노(-45.6%), 엑셈(-37.9%), 우성아이비(-24.5%), SGA솔루션즈(-10.9%), 큐브엔터(-9.2%)도 하락을 면치 못했다.

이 같은 주가흐름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스팩 주주들이 주가에 호재가 이미 반영됐다고 보고 합병 상장을 하면 서둘러 차익실현에 나서기 때문으로 보인다. 쎄노텍과 합병한 미래에셋제4호스팩의 경우에도 합병 직전 10거래일간 주가가 83.53% 급등했으나 합병 상장 당일 13.39% 급락하는 등 내림세를 보였다.

한편 올해 상장한 스팩은 총 7개로 공모가 대비 수익률은 평균 14.5%였다.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체인 솔트웍스와 합병 상장을 앞둔 IBKS제4호스팩이 기대감에 공모가 대비 96.0% 급등했다. 그러나 하나금융8호스팩(0.0%), 미래에셋제5호스팩(3.0%) 등 나머지 종목의 변동률은 미미했다./박호현기자 greenlight@sedaily.com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