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추석 '조카몬'의 습격...최선의 방어는 숨기기

고가의 IT기기 망가뜨리기 일쑤...'만지면 혼난다' 경고는 효과도 없고 가족 다툼으로 번져

명절이 되면 IT(정보기술) 기기 애호가는 애간장이 탄다. 호기심에 애장품을 만지다 망가뜨리는 친척 어린이 때문에 머리를 쥐어뜯는 경우가 적잖다.

인터넷에서는 이 때문에 ‘조카’와 ‘몬스터’를 합친 ‘조카몬’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왔다. 악의 없이 방을 초토화하는 이런 조카에게 어떻게 대처할지를 두고 네티즌들은 갑론을박한다.


14일 인터넷 커뮤니티에 따르면 많은 이들이 꼽는 최선의 방어는 ‘꼭꼭 숨기기’다. 파손이 걱정되는 물품을 몽땅 박스에 넣고 밀봉해 집안 창고 등에 넣어두는 것이다.

단 높은 책장 등 아이의 손이 안 닿지만 보이는 곳에 기기를 쌓아 놓는 행동은 금물이다. 일단 신기한 물건이 보이면 어떻게든 만져보려고 떼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옮기기 어려운 PC·프린터·오디오 등은 방문을 잠가놓거나, 전원을 뽑아놓고 고장이 났다며 ‘불가피하게’ 거짓말을 하는 방안이 있다.

관련기사



특히 PC는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숨기거나, 전원을 켜면 윈도 운영체제(OS) 대신 어린이들이 낯설어하는 ‘리눅스’ OS가 구동되도록 미리 손을 봐두는 방법도 거론된다.

아이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고자 미리 만화책·장난감·게임기 등을 마련해 ‘바치는’ 길도 있다. 일명 ‘제물템’(제물과 아이템의 합성어) 전략이다.

최악의 방법은 ‘만지면 혼난다’ ‘비싼 거니 조심하라’며 강압적으로 경고하는 것이다. 아이가 자제 능력이 약해 말을 안 들을 공산이 크고 이 때문에 다툼이 벌어져 명절 분위기만 망칠 수 있다.

서울대 이강이(아동학) 교수는 “어린이 눈에 어른의 물건이 얼마나 신기하고 매력적으로 보일지를 짐작하면 답은 명확하다. 호기심을 자극할 계기를 만들지 않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세종=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