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동빈 롯데 회장 검찰 소환] '2,000억대 횡령·배임' 정조준...檢 "신동빈 구속영장 여부 고심"

손실 떠넘기기·일감 몰아주기 등

辛회장 지시·관여 여부 집중조사

"불구속 기소로 마무리 될것" 분석

단일사건 최대 인력 투입 불구

비자금·로비 연결고리 못찾아

"용두사미로 끝날 가능성도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 20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그룹 본사에 직원들이 들어서고 있다.   /권욱기자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 20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그룹 본사에 직원들이 들어서고 있다. /권욱기자


지난 6월10일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103일간의 대장정을 이어온 롯데그룹 경영비리 수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롯데그룹 경영비리 의혹의 최고 윗선인 신동빈(61) 롯데그룹 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20일 조사했다. 롯데그룹 총수가 검찰에 불려 나온 것은 1967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검찰은 2,000억원대로 추정되는 신 회장의 횡령·배임 혐의를 정조준하고 있다.


검찰은 현재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는 입장이나 법조계 안팎에서는 불구속 기소로 가닥이 잡힐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현직 사장들의 영장이 줄줄이 기각된데다 비자금 조성의 열쇠를 쥐고 있던 고(故) 이인원 롯데그룹 정책본부장(부회장)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서 신 회장의 혐의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아졌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이날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횡령 혐의로 신 회장을 불러 조사했다. 신 회장은 롯데그룹 총수 일가 가운데서는 아버지 신격호(94) 총괄회장과 형인 신동주(62)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신영자(74)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에 이어 네 번째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이에 따라 재계 5위 롯데그룹의 신 회장이 이번에 검찰 조사를 받게 되면서 ‘재벌 총수 수난사’에 또 하나의 불명예 사례를 추가하게 됐다. 이번 롯데그룹 수사로 검찰은 국내 5대 그룹 가운데 LG를 제외하고 모든 곳에 대한 수사를 진행한 바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검찰이 롯데그룹 경영비리의 정점으로 꼽히는 신 회장을 불러 조사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는 부분은 그가 중국 홈쇼핑업체 등 해외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을 그룹 내 다른 계열회사로 떠넘기거나 특정 계열사의 알짜 자산을 헐값에 다른 계열회사로 이전하는 등 배임을 저질렀는지 여부다. 또 롯데피에스넷 유상증자 과정의 부당지원은 물론 롯데시네마 등 계열사를 통한 친인척 기업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 등 의혹에 관여했는지도 조사했다. 특히 롯데건설이 최근 10년간 3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신 회장이 지시하거나 보고를 받는 등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는지도 추궁했다. 검찰은 롯데그룹의 사령탑 격인 정책본부의 지시나 묵인 없이 롯데건설이 독자적으로 수백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고 신 회장을 비롯한 그룹 최고 경영진 차원에서 해당 자금이 조성됐을 개연성이 크다고 의심하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신 회장이 실제 경영 활동을 하지 않고서도 수년간 일본 롯데 계열회사에서 100억원대 급여를 받은 게 횡령에 해당하는지도 검토 중이다.

신 회장에 대한 소환 조사가 이뤄지면서 관심은 자연히 그를 구속기소 할 수 있는지에 쏠리고 있다.

검찰은 현재 “구속영장을 청구해야 한다거나 불구속 기소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가 되는 요소를 갖고 심사숙고 중”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법조계 안팎에서는 불구속 기소하는 선에서 수사가 마무리될 수 있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미 기준 전 롯데물산 사장을 제외하고는 현직 대표들에 대한 구속영장이 줄줄이 기각된데다 고 이인원 롯데그룹 부회장의 자살로 수사 계획에 차질이 생기면서 비자금 조성 의혹을 규명하기가 쉽지 않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비자금 조성과 함께 최대 관심사로 꼽히던 제2롯데월드 인허가를 둘러싼 정관계 로비 의혹마저 실체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롯데그룹 경영비리를 겨냥한 검찰 수사가 자칫 ‘용두사미’로 마무리될 수 있다는 이야기마저 나오고 있다. 비자금 조성은 검찰이 수사 초기부터 공들인 분야로 호텔롯데·롯데쇼핑·롯데자산개발·롯데케미칼 등 주요 계열사의 부외 자금 존재를 파헤쳤으나 실체는 물론 총수 일가나 그룹 컨트롤타워인 정책본부와의 연결 흔적도 찾지 못했다. 제2롯데월드 인허가 로비 의혹도 이명박 정부 유력 인사들의 비리 수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으나 정작 시행사인 롯데물산에 대한 압수수색도 이뤄지지 않았다. 또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학 동기 이자 제2롯데월드 인허가를 진두지휘한 장경작(73) 전 호텔롯데 총괄사장을 7월 출국 금지 조치한 것 외에는 수사 과정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한 대형 로펌 관계자는 “검찰은 첫 롯데그룹 압수수색에 단일 사건으로는 최대 규모의 인력을 투입하는 등 열의를 보였으나 결과는 이에 근접하지 못했다”며 “신 회장을 불구속 기소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는데다 이른바 ‘MB정권’ 실세들의 비리 수사로 연결될 수 있는 제2롯데월드 인허가 로비 의혹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미완의 수사’로 끝날 수 있다는 말마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