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아동학대 사망사건 가해자 평균형량 '고작' 징역 7년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연합뉴스


아동 학대 가해자에게 내려진 평균 형량은 징역 7년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부모 등이 가해자인 아동학대 범죄 처벌에 법원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이 대법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1년부터 올해까지 판결이 확정된 아동학대 사망사건 31건의 가해자들에게 내려진 평균 형량은 징역 7년으로 확인됐다. 가해자는 피해 아동의 엄마와 새엄마가 각각 9명, 아빠는 7명이었다.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아동학대 사망사건 31건 가운데 살인죄가 인정된 사례는 5건에 그쳤고, 상해치사 7건, 유기치사 4건, 폭행치사 4건, 학대치사 3건에 이르렀다.


이에 대해 박 의원실은 “가해자들이 검찰·경찰 조사에서 살인의 고의를 인정하는 취지의 진술을 했음에도 재판 단계에서는 가해자가 피해 아동의 부모라는 이유 등으로 살인죄보다 가벼운 죄를 적용하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실제로 박 의원실에 따르면 2014년 서울고법은 “세게 때리니 아들이 고통스러워해 죽겠구나 생각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피해 아동의 엄마에게 살인죄가 아닌 상해치사죄를 적용해 징역 4년을 선고했다.

박 의원은 “법원의 태도는 가해자의 살인 고의 인정을 어렵게 만들어 아동을 독립적 인격체로 존중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를 조장한다”며 “법원은 사회적 약자인 아동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오히려 가해자를 동정해 편향적 판결을 내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