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물’은 이 배를 타는 사람의 이야기다. 그동안 간첩에 의한 첩보전이 대다수였던 남북 이념대립 문제를 소시민에 투영해 숨어있던 체제의 폭력을 수면위로 드러낸다. 10년간 고생해 마련한 전 재산인 배가 고장나 어쩔 수 없이 군사분계선을 넘게 된 어부 ‘철우(류승범 분)’가 남한의 전향 압박과 북한의 사상검증 과정에서 피폐해지는 과정을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고장난 스크루를 고쳐 금방 다시 북으로 올라갈 수 있을 거라던 철우의 기대는 남측 정보요원들을 만나면서부터 틀어지기 시작한다. 한국전쟁에서 가족을 잃고 지난 조사과정에서 간첩을 놓친데 불만을 가진 남측 조사관은 그를 간첩으로 만들기 위해 점차 폭력의 강도를 높여간다.
폭력의 방식은 그동안의 김기덕 영화와는 사뭇 다르다. 사람이 가하는 신체적 폭력을 차용했던 틀에서 벗어나 이념과 체제의 우월성에서 기인하는 정신적 폭력으로 방향을 바꿨다.
남측 정보기관 요원은 당근과 채찍을 교묘히 활용하면서 마지막 수단으로 철우를 명동 길거리에 방치한다. 최고의 번화가에서 남한 체제의 우월함을 직접 보고 느끼라는 압박이다. ‘이런데도 북에 돌아가고 싶어?’ 하는 우리의 고정관념은 결국 그에게 생각지도 못한 고통만 더 가중시킨다.
철우에게 고통은 체제의 열등감에서 기인하지 않는다. 남측 정보기관원들의 회유책은 안전하게 가족에게 돌아가고 싶어하는 그에게 계속 부담만 안겨줄 뿐이다. 명동에서 찍힌 동영상이 언론에 공개되며 자본주의를 찬양한 것이 되고, 안전가옥에서 자살한 동포의 시를 딸에게 전해준 것이 간첩들의 암호가 되고, 술집 아가씨를 도와주고 술 한잔 얻어마신 것이 또다른 의심을 사는 동시에 웃음거리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북에서도 마찬가지. 옷가지를 다 벗어던지고 ‘공화국 만세’를 외치며 당당하게 고향 땅을 밟지만 보위부 조사과정에서 그는 남한에서와 똑같은 일을 겪게 된다. 보이는 것과 보는 것이 다른 영웅의 이면에 결국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의 후회가 남고, 유일한 희망이었던 가정에까지 비극이 찾아든다.
영화는 김기덕 감독의 원죄의식을 인간에서 국가로까지 확장시켰다. 개인이 어찌할 수 없는 체제와 이념에 길들여진 국가는 더 이상 인간의 자유를 보장할 수 없음을 말한다. 동시에 김 감독 특유의 찌르고, 때리고, 피비린내 나는 장면 없이도 심리적 압박을 통해 그만큼의 폭력성을 드러낼 수 있음도 보여준다.
철우는 ‘그물로 고기를 너무 많이 잡은 것 같다. 이번에는 내가 단단히 걸린 것 같다’고 말한다. 영화에서 말하는 그물에서 빠져나가도 비늘과 지느러미의 상처로 금세 죽어버리는 물고기는 개인이며, 그를 가두는 그물은 이념과 체제다. 감독은 이 비유를 통해 이념과 체제 논쟁이 결코 빠져나갈 수 없는 민족의 덫이 되어버린 현실을 고발한다.
스크린이 어두워지자 소초 한구석에 전시돼 있던 전마선 생각이 간절해졌다. 과연 그 배의 주인은 북한 보위부요원의 말처럼 당에 대한 충성심을 보이기 위해 어구를 내던지고 헤엄쳐 돌아왔을까. 전 재산을 버린 그는 가족 품으로 돌아와 행복했을까. 이를 두고 북에서는 정말 영웅적 처사라고 칭송할까. 반세기가 훌쩍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변함없는 냉전과 이념·체제경쟁은 한반도 사이를 여전히 단단한 그물로 가로막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