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벽에 잠드는 학생, 밤 11시에 자는 학생보다 우울 위험 1.7배↑

/출처=이미지투데이/출처=이미지투데이


밤 11시에 잠자리에 드는 중·고생에 비해 새벽 3시에 자는 학생이 우울감을 느낄 위험이 1.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시간보다 ‘몇 시에 자느냐’가 우울과 관련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강원대병원 가정의학과 고유라 교수가 2007∼2015년의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토대로 전국 중·고생 54만여 명의 수면 시작시간과 우울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에서 우울감을 느끼는 학생은 3명 중 1명꼴로, 중·고생의 17.4%는 자살을 생각, 5.4%는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6시간15분이였고, 수면 시작 시간은 오후 8시부터 오전 4시까지 다양했다. 평균 취침 시각은 오전 12시13분으로, 70% 이상이 자정을 넘겨 잠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청소년 적정 취침시간(bedtime)은 오후 10시30분 이전으로 권장됐지만 실제로는 훨씬 늦게 잠드는 것이다. 이는 일본 중·고생의 평균 취침시간인 오후 11시24분 보다도 상당히 늦은 시간이다.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 중학생보다 고등학생, 농촌 거주 학생보다 도시 거주 학생, 성적이 나쁜 학생보다 좋은 학생이 더 늦게 자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일찍 자는 학생이 우울감을 덜 느끼는 것은 아니었다. 밤 11시에 잠이 드는 중·고생이 가장 우울 위험이 낮았다. 저녁 8시와 오전 3시에 잠자리에 드는 학생이 우울감에 빠질 위험은 밤 11시부터 잠을 자는 학생에 비해 각각 1.4배·1.7배 높았다. 고 교수는 논문에서 “남학생은 밤 11시에 자는 것이 가장 덜 우울했고 여학생은 오후 10∼12시 사이에 잠들 때 가장 덜 우울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고 교수는 논문에서 “이번 연구를 통해 수면 시작 시간이 우울과 관련이 된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늦게 자서 수면시간이 부족하거나 깊게 수면을 취하지 못해서 우울해지는 것이 아니라, 몇 시에 자는지가 우울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 일본에서도 늦은 취침 시작 시간이 우울·불안 위험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청소년이 적절한 시간에 수면을 취하게 하면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의 상관관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는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