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서울대, 자율주행차 스누버에 차량통신기술 선보여

차량통신기술 이용해 자율주행 안정성 높여

신호등, 보행자 출현 등에 대처 가능

SKT "앞으로 차량파트너들과의 협력 늘릴 것"

SK텔레콤이 자율주행차량에 차량통신기술(V2X)을 적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 공개했다. 이를 서승우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가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 ‘스누버(SNUver)’에 적용돼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SK텔레콤은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와 함께 차량통신기술과 영상인식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차량의 탐지거리를 확대하는 기술을 서울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캠퍼스에서 시연했다고 6일 밝혔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에 활용한 차량전용통신망은 5GHz대역을 이용하며 하이패스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한 근거리 통신망 기술의 일종으로 자동차가 가까이 접근하면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를 얻는 방식이다. 또 차량에 카메라를 탑재해 신호등이나 횡단하는 사람 등 영상정보가 들어오면 이를 딥러닝 방식을 적용한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했다.

관련기사



기존에 스누버가 물체인식기술(LiDAR)에 기반해 자율주행을 선보였다면 SK텔레콤과의 협력으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신호등 등 장비와 보행자를 파악해 주행 안정성을 더욱 높였다는 설명이다.

이날 시연에서 SK텔레콤과 서울대는 5㎞ 구간에 6개의 신호등을 설치하고 보행자가 갑자기 길을 건너는 상황을 설정한 상태에서 차량통신기술, 영상기반 차량신호등 인식 기술 등을 검증했다. 또 길가에 고정된 CCTV 카메라를 활용해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행 사각지대를 인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시연하기도 했다. 서 교수는 “이번 시연은 자율주행차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해 통신 인프라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걸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앞으로 차량통신기술에 기반해 다양한 차량 파트너들과 정보통신기술 협력을 해 자율주행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6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SK텔레콤과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 연구진이 차량통신 및 영상인식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탐지거리를 확대하는 기술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에 서울대가 개발한 자율주행차 ‘스누버’가 기존에 물체인식기술(LiDAR)에 기반한 데 더해 통신사의 차량통신기술이 적용돼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사진제공=SK텔레콤6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SK텔레콤과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 연구진이 차량통신 및 영상인식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탐지거리를 확대하는 기술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에 서울대가 개발한 자율주행차 ‘스누버’가 기존에 물체인식기술(LiDAR)에 기반한 데 더해 통신사의 차량통신기술이 적용돼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사진제공=SK텔레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