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는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4%와 33% 낮춰 정정

갤노트7 손실 반영’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5조2,000억으로 정정

7일 발표한 영업이익 추정치 7조8,000보다 33% 감소, 2014년 3분기 이후 8분기만에 가장 낮은 수준

갤럭시노트 브랜드 교체 등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나서야

수뇌가 나서 품질경영 등 기본으로 돌아가야 문제 해소

삼성전자가 12일 갤럭시노트7 단종에 따른 손실을 전부 반영해 지난 3·4분기 영업이익(잠정실적)을 지난 7일 발표한 7조8,000억원에서 5조2,000억원으로 정정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현재 추정할 수 있는 갤럭시노트7 단종에 따른 직접비용을 전부 반영했다”며 연결기준으로 매출 47조원, 영업이익 5조2,000억원으로 3분기 잠정 실적을 수정해 발표했다. 당초 추정치에 비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 33% 줄었다. ★관련 기사 2,3,13,14,21면


이날 정정 발표된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2014년 3분기(4조600억원) 이후 8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업계에서는 이미 판매된 갤럭시노트7 전량 리콜 비용과 미판매 제품 폐기 등을 모두 포함해 이번 사태로 인한 삼성전자의 손실이 최대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삼성전자 안팎에서는 2010년 1년 반 동안 공들였던 ‘옴니아’ 스마트폰 브랜드를 버렸던 것처럼 삼성이 이번에 갤노트7의 단종과 함께 내년 10월로 예정된 노트 차기작의 브랜드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5년간 공들인 브랜드이지만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과감하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 이전에 삼성 수뇌부 차원에서 갤노트7에 대한 정확한 발화 원인을 밝히고 ‘품질경영’에 만전을 기해 국내외 소비자의 의구심을 완전히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상린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삼성이 빠른 결정을 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이제는 사태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후 출시할 제품에 완벽을 기해 고객에게 신뢰감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