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무비프리즘] 4일만에 200만 돌파, '럭키'는 왜 빵터졌나

유해진 주연의 영화 ‘럭키’가 개봉 4일 만에 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최근 흥행의 필수조건으로 등장한 입소문을 등에 업은 ‘럭키’는 강력한 호평에 힘입어 오랜만에 코미디영화의 전성기를 열었다. 유해진 특유의 코믹 연기에 ‘삼시세끼’에서 보여준 진중함, 흥미로운 시나리오 삼박자가 절묘하게 맞아 떨어졌다는 평이다.

뭐니뭐니해도 호평의 진원지는 스토리의 힘이다. 그동안 재기발랄한 배우를 앞세운 코미디영화는 주로 몸과 말을 이용해 관객을 웃기려는 데에만 치중하는 경우가 많았다. ‘럭키’는 기존의 과장된 웃음을 최대한 절제했다. 동시에 흥미로운 소재와 예상치 못한 반전, 따스한 결말을 입혀 소소한 웃음과 감동을 동시에 이끌어냈다.






유해진은 웃음에 대한 강박 대신 어깨에 힘을 빼고 인물의 내면심리를 중심으로 작품을 이끌었다. 보통 주·조연급 배우는 원톱으로 올라설 때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캐릭터를 밀어붙이려는 경향이 있다. 유해진 역시 ‘왕의남자’의 광대 육갑부터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의 해적이었다 산적이 된 막내 철봉, ‘타짜’의 말 많은 타짜 고광렬, ‘공공의 적’ 시리즈의 칼잡이 용만 등 ‘웃음의 히든카드’ 역할을 톡톡히 해낸 캐릭터의 장점들을 모아 새로운 인물을 만들어낼 수도 있었다.

시사회 이전까지만 해도 ‘럭키’를 두고 ‘과연 유해진이 얼마나 웃길까’에 초점이 맞춰지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기존의 캐릭터를 답습하는 대신 ‘킬러’라는 인물의 직업적 성격을 뚝심있게 밀어붙였다. 인물 자체가 주는 웃음보다는 주어지는 상황에 대처하는 모습에서 웃음을 이끌어냈다. 영화가 끝나면 배꼽 빠지는 웃음은 ‘장면’이 기억되지만, 소소한 웃음과 감동은 ‘스토리’가 남는다. 유해진의 선택은 주효했다.


유해진이 이야기의 흐름을 이어가는데 집중하자 조연과 카메오로 출연한 배우들은 작정을 한 듯 펄펄 날았다. 이준은 어리버리한 무명배우로 변신해 뜻하지 않게 손에 넣은 돈으로 밀린 월세와 친구에게 빌린 돈을 갚기 위해 사방팔방 뛰어다니고, 유해진이 지켜보던 묘령의 여인을 제멋대로 구출하려는 등 독특한 인물을 연기하며 장르적 스펙트럼을 넓혔다.

관련기사



카메오로 등장한 전혜빈은 무시무시한 사랑 고백을 늘어놓는 유해진을 바라보는 두려운 얼굴로, 이동휘는 안하무인 톱스타로 등장해 유해진에게 굴욕을 주려다 도로 자기가 뒤집어쓰는 등 ‘치고 빠지기식 웃음코드’ 역할을 확실히 한다.



2주 전까지만 해도 영화계에서는 ‘아수라’의 흥행세를 두고 갖가지 예측을 쏟아냈다. 개봉 첫날 47만 관객을 동원하며 폭발적인 스코어를 기록하자 19금 영화 최대 흥행기록을 갈아치울지도 모른다는 예측이 쏟아졌다. 하지만 부정적인 입소문의 영향으로 개봉 2주차부터 주류 장르가 아닌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맨인더다크’에 밀리면서 ‘럭키’ 개봉 전까지 박스오피스는 사실상 왕 없는 상태의 흐름이 이어져 왔다. ‘럭키’가 치고 올라가기에는 최적의 상황이 만들어진 셈이다.

‘럭키’는 지난 15일(토) 63만명, 16일(일) 69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폭발적인 기대를 모았던 ‘아수라’의 첫 주말(1일(토) 37만명, 2일(일) 43만명)보다 3분의 1가량 많은 수치다. 현재 매출 점유율은 70%에 육박한다. 코미디 영화로는 이례적인 흥행 대박을 이어가고 있다. 개봉 4일 만에 손익분기점도 넘어선 만큼 지금부터는 부담 없이 흥행을 즐길 수 있다.

이번주 개봉작 중 ‘럭키’의 흥행세를 견제할 작품으로는 ‘인페르노’ 외에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25일 전야 개봉하는 ‘닥터 스트레인지’와 맞붙기 전까지 얼마나 많은 관객을 동원할지, 과연 마블 슈퍼히어로 영화와 맞붙고도 한국영화의 자존심을 지켜낼 수 있을지 두고두고 지켜봐도 재미있을 듯 하다.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