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G20, 다국적 기업 조세회피 뿌리 뽑기에 ‘박차’

한국 등 84개국, 2018년까지 거주자 ‘금융계좌 정보’ 자동교환 완료

주요 20개국(G20)이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를 뿌리 뽑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G20이 최근 다국적 기업의 세원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포괄적 이행체제를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G20 회원국은 글로벌화·디지털화 등 경제변화를 이용한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BEPS)가 국제적인 문제로 주목받으면서 국제조세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G20은 앞서 2015년 국가간 세제 차이로 인한 이중비과세 방지, 조약남용 방지 등 15개 권고안을 마련한데 이어 올해는 이행 및 모니터링을 위한 포괄적 이행체제를 구축했다.


G20 국가를 포함한 84개국은 다자간 금융정보자동교환협정에 따라 한국 등 53개국은 2017년부터 나머지 31개국은 2018년부터 상대국 거주자의 금융계좌 정보를 자동 교환한다. 또 조세 투명성 관련 비협조국 식별 기준을 마련해 비협조국에 대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관련기사



협조국 지위를 부여받기 위해서는 △요청에 의한 조세정보 교환 이행 △조세정보 자동교환 참여 약속 △다자간 조세행정공조협약 참여 등 3개 요건 중 최소 2개를 충족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실소유주 정보 파악·교환을 위한 글로벌 차원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경기부진 및 재정악화가 지속되면서 조세회피 방지를 위한 G20 차원의 공조는 계속 강화될 것”이라며 “내년부터 중점 논의될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새로운 국제 조세개혁 논의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