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美디트라니 "북과 접촉서 9·19 복귀의사 타진"

VOA에 밝혀…"北은 ‘핵개발은 억제력 확보’ 입장 반복"

美국무부 "북미 접촉은 미 정부와 무관"

미국과 북한의 비공개 접촉이 진행 된 2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한 호텔에서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미국과 북한의 비공개 접촉이 진행 된 2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한 호텔에서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 북미간 트랙2(민간차원) 접촉에서 미측은 북한에 2005년 채택된 ‘9·19 공동성명’ 이행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당시 접촉에 참여했던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가 “북한이 9·19 공동성명으로 돌아갈 의지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춘 탐색적 대화가 있었다”고 말했다고 25일 보도했다.


디트라니 전 대표는 그러나 북측이 한미 연합훈련 등에 대해 우려를 밝히며 핵개발은 한미의 위협에 대한 억제력 확보 차원이라는 입장을 반복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 정부가 이번 접촉에 대해 공식 보고를 요청하지 않았다면서도 참석자들이 미 정부 내 인맥을 통해 결과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VOA는 전했다.

관련기사



한편 미국 국무부는 지난주 북미간 접촉은 미 정부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된 북미 비공식 접촉에 대해 “(민간 차원의) ‘트랙2’ 대화는 공식적인 것이 아니며, 정부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1~22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한 호텔에서 진행된 북미 비공식 대화에는 북한에선 한성렬 외무성 부상과 장일훈 유엔주재 차석대사 등 현직 관리 5명이 참석했다. 미국에서는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핵 특사,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 등 전직 관리와 민간 전문가들이 나왔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