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드라마틱한 전개의 스캔들"…'최순실 사태' 외신 분석은

‘최순실 사태’를 집중 보도한 일본 신문들. / 사진=연합뉴스‘최순실 사태’를 집중 보도한 일본 신문들. / 사진=연합뉴스


주요 외신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를 둘러싼 ‘비선실세’ 논란을 어떻게 보도하고 있을까? 외신들은 ‘최순실 사태’와 29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있었던 집회 등을 자세히 보도하며 자국과의 외교 관계에 미칠 영향 등을 분석했다.

미국 공영방송 NPR은 30일(현지시간) ‘샤머니즘적 숭배가 연관된 스캔들 소용돌이가 한국 대통령을 위협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이번 스캔들이 수천만 달러의 돈과 국정개입 혐의뿐만 아니라 ‘샤머니즘 예언자’, ‘승마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FP통신은 “교복 입은 10대와 대학생, 어린아이를 데려온 중년 부부 등 다양한 시민이 집회를 함께했다”고 소개하며 “박 대통령을 둘러싼 압박과 분노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최근 몇 개월 사이 서울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 가운데 가장 큰 규모”라고 분석했다.

로이터통신도 “박 대통령이 국민의 신뢰를 배신했고 국정 운영을 잘못했다, 나라를 이끌 권한을 잃었다”는 성난 민심을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고(故) 최태민 씨가 ‘한국의 라스푸틴(제정 러시아 말기의 예언자로 차르 니콜라이 2세 뒤에서 전횡을 일삼은 인물)’으로 불린다는 과거 주한 미국대사관의 본국 보고 사실을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비선 실세 루머와 족벌주의, 부정 이득 등이 포함된 드라마틱한 전개의 스캔들이 박 대통령을 집어삼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블룸버그통신은 한국 경제가 조선·철강업 불황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최순실 사태’에 따른 정치적인 불안정성이 장기적인 성장 전망과 국가 경쟁력 저하 우려를 심화할 수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일본 NHK는 “박 대통령은 인사 쇄신 등으로 사태 수습을 시도하고 있지만 지지율이 사상 최저인 14%로 떨어지는 등 비판이 커 혼란이 수습될 지는 불투명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도 “청와대도 수사 대상이 되는 이례적 사태로, 박근혜 정권은 중대 위기를 맞았다”고 지적했다.

마이니치신문은 “박 정권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으면 한일간 위안부 합의 이행,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협력도 진전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일 양국이 연내 체결을 목표로 하는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환구시보는 힐러리 클린턴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의 이메일 스캔들보다 더 심각한 사건이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또 인민일보 해외판은 29일자 기사에서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의 미래도 짐작하기 어렵게 됐다”면서 “사드 배치는 확실히 일정한 저항을 받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