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승 한국인터넷진흥원장 “‘경제의 ICT화’ 시대, 산업 역동성 받쳐줄 정책·지원 미흡해”
“국내외 대·중소기업 공동개발 이끌고, 정보보호 ‘내재화’한 제품·서비스 개발 촉진시킬 것”
“보안성이 내재된 ICT(정보통신기술)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촉진시켜 ‘경제의 ICT화’를 이끄는 데 힘을 쏟겠습니다”
백기승(58·사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은 최근 서울 송파구에 있는 청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민관 합동으로 인터넷과 정보보호 산업 진흥이라는 양대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9월 취임이후 소회를 묻는 질문에 “조바심이 더 커졌다”는 각오를 밝힌 백 원장은 ICT를 중심 축으로 제조와 서비스업 등이 융합하는 사물인터넷(IoT), 핀테크(Fintech·금융+기술)처럼 융합 신산업이 쏟아지지만 이를 조율할 ‘거버넌스(공공경영)’는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과거 인터넷을 표현했던 ‘사이버’가 온라인 게임을 하고 채팅을 하는 가상이었다면 지금 인터넷은 현실을 압도하는 기술입니다. ICT 시대를 맞는 ‘정책 인터넷(Internet of Policy)’, ‘경영 인터넷(Management)’ 같은 개념이 필요하죠.”
실제 인터넷진흥원은 지난해부터 인터넷과 정보보호 산업의 진흥 정책 마련을 위해 노력해 왔다. 지난해 5월에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함께 대기업과 중소기업·스타트업(창업 초기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IoT 제품과 서비스를 공동개발하는 플랫폼인 ‘IoT 글로벌 민·관 협의체’를 출범시켰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 네이버 등 국내 기업을 비롯해 시스코 시스템즈와 퀄컴, IBM·HP·SAP 같은 글로벌 기업을 포함 21곳이 참여한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다. 협의체는 현재까지 모두 11건의 사업협약을 체결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
또 인터넷진흥원은 유망 스타트업을 선발해 기업이 1:1 밀착 지원,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돕는 ‘IoT 스타트업 챌린지’ 프로그램 역시 운영하고 있다. 백 원장은 “이제는 국내든 국외든, 기업 규모가 크든 작든 각각의 분야가 모여야 성공할 수 있다”며 민관 협력을 강조했다.
정보보호 솔루션은 제품·서비스 출시 이전부터 ‘뱃속에 품도록’ 한다는 것이 백 원장의 계획이다. 지난달 인터넷진흥원이 서울 서초구 IoT혁신센터 내에 문을 연 ‘IoT 보안 테스트베드’는 ICT 업체가 자사의 제품·서비스의 보안 테스트를 무료로 할 수 있는 공간이다. 펌웨어(하드웨어 제어 프로그램)와 와이파이·블루투스·RFID 칩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부채널 공격·시큐어코딩 적용 여부 보안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가능하다. 백 원장은 “연말부터 시행되는 ‘정보보호 산업진흥법’의 후속 대책으로 정보보호 인재의 종합적 육성체계를 마련하겠다”며 “충분한 인력과 예산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