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새 경제 컨트롤타워 임종룡… 정통 관료 출신 구조조정 전문가

임종룡 신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 /서울경제DB임종룡 신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 /서울경제DB


구조조정과 금융개혁을 전면에서 이끌어온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일 한국경제를 이끌 새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내정됐다. 임 내정자는 이로써 국무총리실장(현 국무조정실장), 금융위원장에서 이어 장관급 직책만 세 번째로 맡게 됐다.

임 내정자는 정통 경제관료이자 정책통이다. 부처 계보로는 옛 재무부(MOF) 출신이다. 현 정부 들어 기획재정부를 이끈 현오석·최경환 부총리는 모두 옛 경제기획원(EPB) 출신이다. 지난 정부의 강만수·윤증현 장관에 이은 재무부 출신 기재부 장관인 셈이다.


재무부 출신인데도 금융뿐 아니라 거시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재정경제원과 재정경제부 시절 옛 기획원과 재무부 당시부터 명맥을 이어온 핵심 정책부서를 두루 거친 흔치 않은 배경이 있어서다.

금융·경제 정책의 핵심 보직인 금융정책국 금융정책과장과 경제정책국 종합정책과장을 연달아 맡은 것이 대표적이다. 이어 국장급 보직에서도 금융정책심의관에 이어 경제정책국장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 때는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도 했다.

2010년 기획재정부 1차관을 맡았을 때는 자본 유출입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3종 세트 정책’을 설계, 소규모 개방경제의 외환·금융시장 불안요인을 줄였다.

각료 중에서는 보기 드문 업계 최고경영자 경력을 갖고 있는 것도 그에겐 자산이다. 국무총리실장으로 당시 김황식 총리를 보필한 것을 끝으로 공직을 떠난 뒤 연세대 석좌교수로 잠시 있다가, 2013년 6월부터 NH농협금융지주 회장으로 일했다.


금융위원장으로서는 전임자인 신제윤 위원장이 시작한 금융개혁의 완성도를 높이고, 조선·해운 구조조정을 끌어나가는 데 집중했다. 거래소 개편과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도입, 보험상품·가격 자유화, 크라우드펀딩, 핀테크 규제 개선 등으로 금융권에 계속해서 ‘성과주의’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다. 올해 초부터는 본격적으로 경영난에 빠진 해운·조선업종에 구조조정 메스를 들었다.

관련기사



임 내정자는 논리적이며 온화한 성품이며 합리적 리더십을 갖췄다는 평가가 많다. 선후배 사이에서 그를 둘러싼 험담을 듣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국제무대 경험은 적은 편이다. 높아진 국가 위상만큼 G20, 국제통화기금(IMF) 등 경제외교 무대에서의 역할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지를 놓고는 긍정적인 시각만 있지는 않다.

전남 보성 출신으로 서울 영동고, 연세대를 나왔다. 프로듀서(PD) 출신인 부인은 KBS에 재직 중이다. 슬하에 대기업 생활을 그만두고 미국 유학길을 떠난 딸이 있다.

<약력>

▲ 전남 보성(57) ▲ 연세대 경제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 ▲ 행시 24회 ▲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장, 금융정책과장, 종합정책과장 ▲ 영국 재경참사관 ▲ 재정경제부 금융정책심의관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 ▲ 대통령 경제금융비서관 ▲ 기획재정부 1차관 ▲ 국무총리실장 ▲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금융위원장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