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현장] '커튼콜' 장현성 "퀄리티만 보면 600만도 가능한 영화"

3류 에로극단의 연극 ‘햄릿’ 도전기. 자칫 웃음으로만 가득하리라 생각할 수 있는 작품에 장현성이 제동을 걸었다.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그의 한마디 한마디는 이 특이한 영화에 대한 기대를 한층 높이기에 충분했다.

11월 8일(화) 오전 서울 압구정CGV에서 영화 ‘커튼콜’의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류훈 감독과 배우 장현성, 박철민, 전무송, 유지수, 이이경, 채서진, 고보결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커튼콜’은 경제불황으로 문닫을 위기에 놓인 삼류 에로극단 연출자 ‘민기’(장현성)와 제작자 ‘철구’(박철민)가 늘 꿈에 그리던 연극 ‘햄릿’을 무대에 올리기로 결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 우여곡절 끝에 막은 올렸지만 예기치 않은 실수와 애드리브가 난무하며 공연의 열기는 점점 뜨겁게 달아오른다.

/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영화 ‘커튼콜’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 사진=지수진 기자/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영화 ‘커튼콜’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 사진=지수진 기자


장현성은 극중극을 영화적 문법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상당부분 시간을 쏟았다. 그는 “가장 걱정했던 부분이 연극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영화의 문법으로 보여준다는 것이었다”며 “감독이 연극을 만드는 것처럼 연극 ‘햄릿’과 영화 ‘커튼콜’을 각각 준비하고 둘을 조합하며 문법적으로 풀자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배우들이 실제 연극을 연습하는 것처럼 연습실을 하나 만들어달라 요청하고 2~3주간 연극연습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카메라가 객석이라고 생각하고 연습과정을 거친 시간들이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연극이 지겹거나 어렵다고 생각하실 수 있다. 그러나 분명 처음 등장하는 놀라운 형식에 웃다보면 자연스럽게 휴머니즘까지 느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근 등장하는 코미디영화도 수십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되는 상황에서 ‘커튼콜’은 상당히 작은 규모로 제작됐다. 장현성은 “맛있는 음식을 차려놓고 손님에게 권해드리고는 싶은데 정작 손님을 초대하지 못해 쩔쩔매는 심정”이라며 “조금난 노력해 영화를 봐주신다면 틀림없이 여러분 인생에 놀라운 경험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영화 열린 ‘커튼콜’ 제작보고회에서 배우들이 포토타임을 갖고있다. / 사진=지수진 기자/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영화 열린 ‘커튼콜’ 제작보고회에서 배우들이 포토타임을 갖고있다. / 사진=지수진 기자


장현성은 작품의 완성도를 확신하고 소속사(YG엔터테인먼트)에 홍보비용을 투자하게 만들기도 했다. 박철민은 “장현성이 영화에 대한 애정이 너무 커 모든 말이 절절하게 느껴진다”며 “지금 소속사에 설득해 홍보비용을 끌어와 영화에 투자하게 만들었다. 그 진심이 분명 통할 것 같다”고 말했다.

어려운 제작과정 탓에 그가 예상하는 관객 수는 150만명. 장현성은 “최근 흔히 하는 공약은 공허한 외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예산으로 이렇게 똘똘한 영화가 나왔다”며 “친구 유해진의 영화 ‘럭키’가 600만 관객을 넘자 우리 영화에도 기대가 커졌다. 내 마음 속 영화의 퀄리티만 본다면 500만 600만도 문제없는 영화”라고 말했다.

한편 삼류 에로극단이 도전한 ‘햄릿’이 무사히 커튼콜을 맞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는 영화 ‘커튼콜’은 12월 8일 개봉한다.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