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무성 "친문·친박 빼곤 누구와도 연대 가능하다"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선 불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한 뒤 이동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연합뉴스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선 불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한 뒤 이동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연합뉴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24일 “친문(친문재인) 패권주의, 친박(친박근혜) 패권주의를 제외한 어느 세력과도 손잡을 수 있고 같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날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무성 전 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와 연대에 대해 “가능한 일”이라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패권주의자들을 제외하고 민주적 사고를 가진 건전세력들이 모여서 1등 하는 사람을 뽑아서 같이 밀어야 하고, 과거처럼 한 사람이 권력 집중되는 현재 제왕적 권력구조가 아닌 서로 권력을 나누는 그런 구조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잠재적 대선 후보군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고려 대상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물론이다. 아주 훌륭한 분이고 자기 정체성에 맞는 정치세력에 들어와서 당당하게 경선에 응하고 국민 선택을 받는 과정을 거쳐야만 마지막 관문을 통과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또 보수 세력이 다시 정권을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가능하다”며 “지지율이라는 것은 항상 변한다. (옥새 파동 등)오해를 벗어나 검증 과정에서 새로운 지지율이 올라올 수 있고, 보수와 진보 양 진영 각각 후보가 탄생하게 되면 지지층들이 다시 또 결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김 전 대표는 “지금 새누리당은 박근혜 사당”이라며 “대통령과 관련된 모든 일에 이 사람들이 호위무사로 나서서 부끄러운 줄 모르고 옳고 그른 걸 판단하지 않고, 부끄러운 줄 모르고 행동을 했다. 그래서 당이 무너져 내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신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서는 “당대표 한 사람이 탈당을 먼저 생각한다는 건 도리가 아닌 것 같다”며 “탄핵부터 먼저 시도하고 그 다음 당 지도부의 사퇴, 그리고 비대위 구성에서 비대위가 썩은 보수를 도려내는 시도를 해야 한다. 만약 탄핵의 길로 간다면 선거가 바로 온다. 시간이 부족할 때는 어쩔 수 없이 다른 길로 갈 수밖에 없다”고 사실상 일축했다.

그는 개헌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전 대표는 “현재의 제왕적 권력구조에 5년 단임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다음에 어떤 대통령이 당선 되더라도 이런 비극이 또 생긴다. 대통령의 권력을 축소시키고 여야 간에 극한 대립이 아닌 협치, 연정을 할 수 있는 그러한 권력구조로 가야 한다”며 “최순실 문제의 해결과 개헌을 같이 다뤄야 한다. ‘이 와중에 무슨 개헌이냐’ 비판들 하시는데 사실 개헌이 더 중요한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