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성 합병 외압 의혹' 문형표 前장관 소환

文 "의견 드린 적도 없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의 핵심 절차였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 문형표(60)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검찰에 소환됐다.


최순실씨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이날 문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삼성물산 지분 10%를 보유했던 국민연금공단이 지난해 5월 두 회사 간 합병 계약 당시 찬성표를 던진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문 전 장관은 당시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냈다.

관련기사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당시 합병비율을 1대0.35로 정했는데 삼성물산의 주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돼 주주들의 손해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당시 제일모직 지분을 42.2% 보유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측에 유리하게 돼 있어 경영권 승계를 위한 계획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당시 삼성물산 최대주주였던 국민연금은 미심쩍은 찬성표를 던져 외압 의혹이 나왔다. 국민연금은 이 때문에 5,900억원의 손실을 봤다는 계산도 나왔다. 문 전 장관은 의결권 행사 전문위원회 위원에게 전화를 걸어 “청와대의 뜻”이라며 찬성표를 던지도록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이 합병 의결 전 이 부회장을 비공개로 만난 사실이 알려지면서 ‘로비 의혹’은 더욱 짙어졌다.

문 전 장관은 이날 검찰 출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저는 합병 과정에 개입할 수가 없다”며 “기금운용본부에서 하는 것이고 의견을 드린 적도 없다”고 의혹을 부인했다. 검찰은 문 전 장관에 앞서 23일 홍 전 본부장을 소환해 15시간 넘게 조사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