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정교과서, 국민의견 984건 중 13건 즉각 반영... 그외 문제 없어

금용한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장(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이 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공용브리핑룸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 의견접수 결과 중간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금용한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장(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이 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공용브리핑룸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 의견접수 결과 중간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5일 교육부는 한국사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 공개 후 5일간 접수한 국민 의견 984건 중 13건을 즉각 반영하여 수정하기로 밝혔다.

이날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는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 의견수렴 중간 결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에 따르면 중학교 역사 1,2와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국민 의견은 모두 984건이 접수됐다.


교육부는 이중 임시 정부 내무 총장으로 잘못 서술된 안창호 선생의 직책과 오해의 소지가 있는 고려 시대 탐라 영역의 채색, 동해 황해 명칭 표기 위치를 바다 가운데로 이동 등 13건을 즉각 반영할 것이라 밝혔다.

관련기사



또한 1960~70년대 경제성장 과정에서 국민의 노력 서술 추가와 2차 인혁당 사건에 대한 기술 추가 등 설명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 85건을 검토해 수정할 예정이다.

다만 친일옹호, 독재 미화, 우익사관 등 이를 제외한 886건의 국민 의견에 대해서는 논리 비약이나 왜곡된 것들이라며 반영을 거부했다.

논란이 되었던 ‘박근혜에 의한 박정희를 위한 박정희 교과서’라는 지적에 대해 독재체제 구축, 정경유착과 노동문제 부작용 등의 서술을 근거로 “유신독재를 불가피한 것으로 정당화한다는 지적은 근거 없는 비약”이라고 맞섰다.

진재관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은 “국민 의견 중 반영 사항은 바로 교과서를 수정, 보완하여야 할 사항으로 명백한 오류를 지적한 것이나 단순 개선 사항이 대부분”이라며 “박정희 체제를 우회적으로 정당화한다는 주장은 지나친 비약”이라고 설명했다. /이세영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