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우리은행 주가 올라도 고민 내려도 고민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 과점주주 방식 주효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21% 잔여지분에 남겨

잔여지분 매각 때 ‘주가 딜레마’ 재발 불가피



[앵커]

예금보험공사가 우리은행 지분 51% 중 약 30%를 매각하는 데 성공한 이후 잔여 지분 21%를 언제 매각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매각가는 공적자금 회수 기준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었는데요. 이 때문에 정부는 잔여지분만큼은 공적자금 회수할 수 있도록 제값을 받겠다는 입장입니다.

앞으로 주가가 오르면 정부는 매각하고 싶겠지만 투자자가 없고, 반대로 주가가 기대보다 낮을 경우 정부가 매각에 나설 수도 없는 ‘주가 딜레마’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정훈규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번 우리은행 민영화가 성공한 데는 여러 투자자가 가격 부담을 나누는 과점주주방식이 주효했다는 평가입니다.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은 그동안 주가에 발목을 잡혀 왔습니다.

정부의 민영화 3대 원칙 중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 ‘빠른 민영화’가 충돌한 탓입니다.

연초 8,000원대 머물던 우리은행의 낮은 주가로는 공적자금 회수가 불가능해 정부 입장에서 매각에 나서기가 어려웠습니다.


이후 우리은행의 실적개선과 적극적인 투자설명회로 주가는 차츰 올랐고, 이는 반대로 투자자들에게 부담될 수 있어 빠른 민영화를 어렵게 했습니다.

관련기사



그러나 정부는 여러 투자자에게 30%의 지분을 나눠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민영화를 성사시켰습니다.

결국 ‘빠른 민영화’를 위해 ‘공적자금 회수’는 뒤로 미뤄 성공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잔여지분이 공적자금 회수 용도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잔여지분 매각 때는 ‘주가 딜레마’를 피할 길이 없습니다.

앞으로 주가가 올라야 정부는 매각에 나설 있지만, 나서주는 투자자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실제 지난 예비입찰 때만 해도 20곳 가까운 투자자가 몰렸지만, 이후 주가가 1만3,000원에 육박할 정도로 치솟자 절반가량이 본입찰 참여를 포기했습니다.

이 정도 수준의 주가만 해도 부담을 느끼는 투자자가 많다는 얘깁니다.

공적자금 회수율 10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예보 잔여지분 약 21%를 주당 1만5,000원 가까운 가격에 팔아야 하지만 현재 주가는 1만3,000원이 되지 않습니다.

[영상편집 김지현]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