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55년 만에 해체 위기에 몰린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직 쇄신 차원에서 차기 회장을 기업 총수가 아니라 명망 있는 관료나 학계 인사를 추대하는 방안을 비중 있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과 현대차 등 주요 회원사에 이어 금융회사들도 줄줄이 공개 탈퇴를 선언한데다 미국 헤리티지 재단과 같은 싱크탱크로의 역할 변경 필요성이 대두된 것도 이유다.
8일 재계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전경련은 내년 2월로 예정된 전경련 정기 총회까지 존폐 문제나 차기 회장 선임 등과 관련된 최종 결론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이를 위해 전경련이 회원사들에 전경련을 탈퇴할 것인지, 차기 회장과 부회장 등 회장단을 어떻게 꾸릴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심은 내년 1월로 예정돼 있는 정례 회장단 회의에 차기 회장 인선 논의가 어떻게 진행될지다. 재계에서는 전경련이 핵심 기능인 경제 단체 기능을 폐지하고 싱크탱크 등으로 조직을 탈바꿈할 수 있는 상황인 점에서 차기 회장에 명망 있는 관료나 외부인사에서 추대해 전경련의 쇄신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전경련은 지난 1988년 5공 청문회 이후 실제로 국무총리를 지낸 바 있는 고(故) 유창순 회장이 이끈 바 있다. 유 회장은 롯데그룹의 전문경영인을 맡기도 했다. 기업인들이 대거 국회 청문회에 불려 나와 기업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에서도 정계와 재계의 경험을 살려 전경련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전경련은 2003년에도 ‘빅3’인 삼성·현대차·LG에서 회장직을 고사하면서 전문경영인이지만 경륜과 능력을 인정받았던 손길승 SK 회장을 추대하기도 했다.
허창수 현 회장이 이미 2011년 2월부터 이미 33~35대 회장을 맡았고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상황에서 딱히 회장을 하겠다고 나서는 인물이 없는 것도 외부 인사 수혈을 고려하는 이유다.
전경련은 쇄신안으로는 전경련의 핵심인 경제단체 기능을 폐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나 정치권을 상대로 대기업의 입장을 전달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업무, 미국·일본 등 외국 재계와의 민간 경제외교 업무, 사회공헌 업무 등을 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 미국 헤리티지 재단처럼 정치와 정부에서 거리를 둔 채 정책과 정치에 대한 제언과 평가를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삼성·현대차 등 주요 그룹 외에 산업은행·기업은행 등도 다음주 중 전경련 탈퇴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앞서 10월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전력 등 공기업 9곳이 전경련을 탈퇴했다. 이밖에 수출입은행도 산은·기은처럼 탈퇴를 고려하고 있다. 국민은행과 신용보증기금 등도 탈퇴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