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거주 1인 가구 女 건강 '빨간불'

운동능력 자기관리 우울감 등 삶의 질 지수

여성 평균보다 낮아

우울감 경험한 비율은 1인 가구 남성보다 높아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여성이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여성의 건강 지표가 여성평균, 혹은 남성보다 낮아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14일 서울시 거주 남녀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 성 인지 통계: 서울시 여성과 남성의 건강실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 거주 1인 가구 여성의 ‘삶의 질 지수’는 0.87로 여성평균 0.92보다 현격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남성(0.94) 지수가 남성평균(0.95)과 별 차이 없는 것과는 대조되는 수치다.

관련기사



삶의 질 지수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불안, 우울감 등 건강과 관련된 다섯 가지 항목을 종합한 지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인 가구 여성의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율은 여성 평균(38.8%) 보다 19% 포인트 높은 57.8%였다. 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1인 가구 남성(11.2%)보다 6% 포인트 높은 17%를 차지했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비율 역시 28.4%로 여성 평균(15.8%)을 웃돌았다.

다만 전체적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외려 1인 가구 남성(32.9%)이 1인 가구 여성(31.5%)보다 더 높았다. 건강과 직결되는 아침 결식비율도 1인 가구 남성이 38.7%로 1인 가구 여성(20.8%)보다 2배 많았다. 그러나 한창 사회적 활동이 많은 청년·중년층에서는 1인 가구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더 높았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