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이석수 "미르·K재단, 육영·일해재단과 비슷하다 생각"

4~5월 첩보 들어와 내용 검토

정권 2년 밖에 남지 않았는데

뒷감당 어떻게 하려는가 느껴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이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4차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이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4차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석수 전 청와대 특별감찰관은 15일 미르재단·K스포츠재단과 관련, “처음 보고 받았을 때 이게 육영재단이나 일해재단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게 아닌가 생각했다”고 말했다.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출석한 이 전 감찰관은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이 “결국 두 재단을 대통령이 본인을 위해 만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전 감찰관은 “올해 4~5월께 두 재단에 대한 첩보 보고가 있어 내용을 검토한 바 있다”며 “재단이 한번 만들면 없애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데 정권이 2년밖에 남지 않았는데 뒷감당을 어떻게 하려 하는가 하는 점을 느꼈다”고 회고했다.

이어 “첩보 내용은 기업들에 모금을 해서 몇백억씩을 모아 재단 두 개를 만들었는데 비슷한 형태로 돼 있고 모금 과정에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관여됐다는 것이었다”고 증언했다.


이 전 특별감찰관은 “첩보를 보고 든 생각은 재벌기업이 자발적으로 낸 것이 아닌 것 같다는 점, 안 전 수석의 영달이나 노후를 위해 만든 것은 아닌 것 같다는 것 등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재단의 실질적인 주인이 누구인지 알아보라고 해 확인 작업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최순실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최순실이라는 사람이 있는 것에 대해, 박 대통령 가족사에 대해 기본적 스터디는 돼 있는 상태였다”면서도 “그런데 최씨가 이렇게 지금 국정에 많이 관여하고 있는지는 몰랐다. 친족도 아니고 수석비서관도 아니어서 조사 대상이 아님이 명백했다”고 주장했다.

이 전 감찰관은 재직 시절 정식 감찰을 한 것은 “박근령·우병우 두 건”이라며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감찰 내용은 “아들의 병역특혜 부분과 개인·가족기업이라는 정강의 횡령 건, 두 건에 대해 감찰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엘시티 비리 혐의로 구속된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관련해서는 “이영복씨가 엘시티라는 큰 사업을 부산에서 하는데 저게 제대로 분양이 안 되면 큰 사달이 나고 현 수석도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가 돌아다녔다”고 밝혔다. 이 전 감찰관은 “현 전 수석은 그전에도 공천헌금 사건 얘기가 있어 특별히 관심 있게 봤다”고 덧붙였다.

이 전 감찰관은 지난 10월 국정감사 직전에 자신의 사표가 수리된 것에 대해 “법제사법위 증언도 못 하게 할 뿐만 아니라 혹시라도 그 이후에 K스포츠나 미르재단에 대해 특감에서 무슨 조치를 할 것을 우려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조선일보 기자와 감찰 대상에 대해 대화를 나눈 것을 MBC가 보도한 것을 두고 “조선일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한 건 아니고 통화한 내용 중 일부를 MBC가 어떻게 입수했는지 모르겠다”며 “개인적 생각으로는 적법한 절차에 의하지 않은 취득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도청·감청·사찰”이냐고 묻자 이 전 감찰관은 고개를 끄덕여 동의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