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 '제2 정유라' 막는다

정부, 大入전형요강 표준안 등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안' 마련

지난 2014년 9월 인천 아시안게임에 마장마술 경기에 출전한 정유라.  /연합뉴스지난 2014년 9월 인천 아시안게임에 마장마술 경기에 출전한 정유라. /연합뉴스




체육특기자라는 신분을 바탕으로 대학교뿐 아니라 고등학교에서도 입학·학사·출결관리, 성적처리, 수상 등 온갖 특혜를 받은 것으로 드러난 최순실의 딸 정유라와 유사한 사례를 막기 위해 정부가 나섰다.


15일 서울경제신문 취재 결과 문화체육관광부는 교육부 등과 공동으로 체육특기자 대입 전형요강 표준안 마련 등을 골자로 한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안’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 감사로 정유라의 특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후 정부는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혀왔지만 구체적인 안으로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개선안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체육특기자 입시제도 개선을 위해 체육특기자 대입 전형요강 표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전형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안에 학업성적을 포함할 방침이다. 아울러 문체부는 교육부·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과 특별전담반을 꾸려 체육특기자 학사관리 실태 점검 이후 실효성 있는 추가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ㅇㄹㄴㅇㄹㄴㅇㄹ



초중고 학교체육 업무를 총괄적으로 수행할 학교체육진흥전담조직도 설립된다. 교육부 주관으로 만들어지는 학교체육진흥전담조직은 초중고 체육특기자들의 학사 및 진학 관리 업무 등을 지원하게 된다.

관련기사



대학스포츠 관련 조직의 위상 및 기능도 강화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대학스포츠 현안에 대한 자율적 협의체로서 총 93개 대학이 회원으로 있는 ‘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의 법인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대학운동부 평가를 강화하고 지원을 확대할 수 있도록 예산 지원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문체부와 교육부는 이 개선안을 내년 상반기에 실행할 계획이며 그에 앞서 각계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의견수렴 과정의 일환으로 문체부와 교육부는 이날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체육특기자 선발 및 학사관리 정상화 방안 모색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은 정부의 체육특기자 제도개선 방안 논의를 위해 정부와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가 함께 마련했으며 이 자리에서는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개선안 중 하나인 대학스포츠 현안에 대해 자율적 협의체인 총장협의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초중고교 체육특기자들의 체계적인 학사·진학 관리를 맡을 학교체육진흥전담조직을 설립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주제발표자로는 하웅용 한국체대 교수, 박진경 가톨릭관동대 교수, 허정훈 중앙대 교수, 전용관 연세대 교수가 나와 각각 ‘대학스포츠 내실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 역할과 비전’ ‘체육특기자 선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체육특기자 학사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형 통합 스포츠 시스템의 가능성’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심포지엄에서 나오는 개선안 등을 바탕으로 내년 3월 중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안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