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오늘 새누리 원내대표 경선..."윤리위 사태로 나경원 유리" VS "정우택 계파색 옅어 호감"

■초재선 누구 손 들어줄까

친박 정우택-비박 나경원 승부 막판까지 예측 불허

이주영 등 중도파는 "추대합의 안되면 선거연기를"

사무처 직원들 당무 보이콧도 선거 영향 여부 주목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친박’ 정우택 후보(오른쪽)와 ‘비박’ 나경원 후보가 1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이주영 의원 주도 중도성향 의원모임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친박’ 정우택 후보(오른쪽)와 ‘비박’ 나경원 후보가 1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이주영 의원 주도 중도성향 의원모임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차기 원내대표 경선을 하루 앞둔 15일 친박계인 정우택 후보와 비박계인 나경원 의원의 판세가 혼전을 보였다.

우선 경선 결과의 핵심 키를 잡고 있는 중도 성향 의원들이 최근 친박 지도부가 친박계 인사들을 당 윤리위원으로 충원하면서 기존 윤리위원들이 일괄 사퇴하는 사태로 나 의원 쪽으로 기울면서 친박 후보가 불리해졌다는 관측이 나왔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판세가 혼전인 상황”이라며 “초·재선들이 어느 쪽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결판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도부의 친박 성향 윤리위원 무더기 임명에 따라 초·재선들이 좀 흔들린다는 얘기가 있다”고 전했다. 친박계 지도부가 이날 “오는 21일 일괄 사퇴하겠다”고 거듭 밝힌 것도 당내에서 확산하는 반발 여론을 잠재우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조원진·이장우 등 최고위원들은 이날 최고위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21일에 이정현 대표와 함께 모두 물러나겠다”고 밝혔고 조 최고위원은 “친박계 2선 후퇴”도 재차 다짐했다.


새누리 사무처 직원들이 총회를 열고 당무 거부를 결의하는 초유의 사태가 터지면서 판세 예측은 더 어렵게 됐다. 당 사무처 협의회 대표단은 이날 오후 “‘현 지도부 즉각 사퇴’와 ‘윤리위 원상 복구’ 요구를 지도부가 공식적으로 거부했다”며 “당 사무처 당무 거부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219명 가운데 73.5%가 총파업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사무처 대표단은 이정현 대표의 당사 출근 저지와 국회 대표실 점거 등도 결의했다. 비박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상황에서 유승민 의원은 “친박(친박근혜)이 후보를 낸다는 사실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며 ‘비박 단일 경선 후보’나 의원을 공개 지지하는 등 비박 세력 결집에 직접 나서 막판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반면 비박계는 오히려 “친박계 후보인 정우택 후보가 좀 더 유리한 상황”이라며 표 단속에 나서며 막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재선의 한 비박계 의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친박계가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은 후보를 내세우면서 나 의원이 중립지대 의원들을 공략하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저쪽(친박 후보인 정 후보)’이 유리하다는 말도 들리는 상황”이라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그는 다만 “윤리위 사태에 대한 사무처의 반발, 초·재선 의원들이 김세연 정책위의장 후보에게 상당한 호감을 갖고 있다는 점 등에 희망을 걸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친박계 의원은 “나 의원에 대한 쇄신 이미지가 생각보다 초·재선 의원들에게 크게 어필하지 않는 것 같다”며 “밖에서 보는 것과 달리 당 소속 의원들은 이번 경선을 친박 대 비박 구도로 보지 않고 있는 것도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중도 성향 의원들은 둘 중 누가 이겨도 당 내홍이 격화될 것으로 보고 경선 연기 주장을 하고 나서 주목된다. 5선 중진인 이주영 의원을 비롯한 중도 성향 의원 20여명은 이날 국회에서 모임을 갖고 “차기 원내대표의 합의추대 방안을 추진하고 오늘(15일) 중에 합의되지 않으면 경선을 연기하도록 경선관리위원회에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나 의원이 당선되면 비박계로 힘 쏠림이 가속화되고, 친박계인 정 의원이 선출되더라도 비박계 좌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가 탈당해 분당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고민이 반영된 고육지책이다. 하지만 당 내부에서는 경선 연기 주장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당 관계자는 그러나 “이미 후보 등록까지 끝난 마당에 불가능한 시나리오”라며 경선이 예정대로 치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