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천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승인…경기도 첫 사례

춘의·소사·원미·고강·신흥·원종·부천역 등 7개 지역

경기도는 부천시가 낸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도내에서 처음으로 승인했다고 19일 밝혔다.

도시재생 전략계획은 좁은 도로와 오래된 건물 등으로 불편을 겪는 구도심 지역을 활성화하는 도시계획으로 지난 2013년 12월 시행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시·군이 수립하고 도가 승인한다.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공단·철도·산업단지 등 경제적 기능 재생을 위해 추진되는 ‘도시경제기반형’, 주거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부천시는 36개 행정동 가운데 27개동을 쇠퇴동으로 진단했으며, 춘의·소사·원미·고강·신흥·원종·부천역 등 7개 지역으로 나눠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세웠다. 1단계로 도시경제기반형인 춘의지역에 400억원(국비 200억원, 시비 200억원)을 들여 오는 2021년까지 금형·로봇·조명·패키징 등 4대 특화산업과 산업지식센터를 연계한 산업환경을 조성한다. 근린재생형으로 분류된 소사지역은 마을공동체 재생, 복사골 문화융성, 재래시장 중심의 사회적기업 육성 등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100억원(국비 50억원, 시비 50억원)이 투입된다. 오는 2020년 2단계로 원미·고강지역, 2022년 3단계로 신흥·원종·부천역지역 도시재생에 나선다.

관련기사



경기도 관계자는 “부천시의 도시재생 전략계획은 다른 시·군의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구도심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천 외에 안양·평택·수원·성남·포천·의왕 등 6개 시가 도시재생 전략계획 승인 신청을 준비 중이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