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조합장에 김영란법 적용 여부 ‘오리무중’

권익위, 파급효과 부담

석달 지나도록 결정 미뤄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조합장 및 임원의 김영란법 적용 여부가 여전히 확정되지 않고 있다. 법이 시행된 후 3개월여가 흘렀음에도 김영란법 소관부서인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결정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탓이다.

19일 권익위에 따르면 ‘도정법(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으로 운영되는 정비사업 조합장 및 임원들의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적용 여부는 언제 결정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법이 시행되던 지난 9월에만 해도 권익위는 10월 말까지는 법 적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계속 연기되더니 최근에는 아예 언제 결정될지 알 수 없다고 말을 바꾸고 있다.


권익위의 한 관계자는 “정비사업 조합장도 김영란법의 적용을 받는 것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공무수행사인(공공기관의 권한을 위임 받아 공무수행을 하는 것)’으로 볼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이에 대한 해석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권익위 내에서도 관련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권익위가 고민하는 이유는 법의 파급 효과가 커서다. 상위 법인 도정법(벌칙 조항)을 보면 정비사업 조합장 및 임원은 공무원으로 본다고 명시돼 있다. 도정법 대로라면 조합장 및 임원도 공무수행 사인으로 김영란법의 적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조합장 및 임원을 김영란법 적용 대상으로 볼 경우 그 범위가 너무 광범위해진다는 것이 문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추진되는 도정법상 정비사업구역은 2,000곳이 넘는다. 이 사업지와 관련된 임직원 모두를 공무수행사인으로 보고 김영란법을 적용한다면 그 인원은 셀 수 없이 많아지게 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권익위 입장에서는 부담감이 큰 결정이기 때문에 쉽게 답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대로라면 올해 안에 개발사업 조합장의 김영란법 적용 여부가 결정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