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방(ROOM)만한 컴퓨터로 Tic-Tac-Toe 즐기는 사나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제임스 뉴먼은 컴퓨터의 동작 원리를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그는 그 속의 데이터 흐름을 보고 싶었다. 그래서 그는 4년 전, 영국 잉글랜드 캠브리지의 자택에서 실리콘칩에 쓰이는 작은 것이 아닌, 큰 트랜지스터를 조립해 대형 프로세서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모든 논리 게이트(회로를 이루는 부품으로서 1과 0을 표시)에 LED를 장착해 데이터 흐름을 실시간으로 시현했다. 이 기계는 뉴먼의 예상 외로 커졌다. 그는 이 일에 갈수록 빠져들게 되었다.

올 여름 그는 ‘메가프로세서’를 완성했다. 높이는 1.8m, 길이는 9m이고 무게는 450kg이 넘는다. 이 기계는 그의 거실 대부분을 차지한다. 트랜지스터 40,000대, LED 10,000대 이상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거대한 컴퓨터의 성능은 그리 좋지 않다. 16비트 프로세서가 달려 있어 간단한 프로그램밖에 실행할 수 없다. 현재까지는 테트리스, 틱택토 등의 게임을 프로그래밍했다. 현재 그는 메가프로세서를 학교나 박물관 등 교육 목적에 사용할 곳에 넘길 생각이다. 그는 “이 물건을 통해 컴퓨터 내부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 수 있어요.”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이 거대한 컴퓨터를 가족과 친구들에게 보여주었고 “미쳤다!” 는 대답을 들었다.

관련기사



50,000달러
메가 프로세서 제작 비용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by COBY McDONALD

by COBY McDONALD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