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계속되는 ‘고용없는 성장’...성장의 고용창출력 5년 만에 반토막

성장률 1%당 새로 생기는 일자리 2012년 19만명→올해 10만명

경기 부진 등 경기요인에다 4차산업혁명의 기존 일자리 대체 구조적 요인도 겹친 탓

손님이 없어 텅 비어 있는 서울 시내의 한 식당 모습/서울경제DB손님이 없어 텅 비어 있는 서울 시내의 한 식당 모습/서울경제DB


우리 경제성장률 1%당 새로 생기는 일자리 수가 5년 사이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경제의 ‘고용 없는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3일 기획재정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6%이고 일자리 증가 규모는 26만명이다. 성장률 1%당 취업자 증가 규모가 10만명 정도라는 계산이 나온다. 지난해 성장률은 2.6%, 일자리 증가 폭이 29만명 내외로 성장률 1%당 고용증가 규모는 11만 2,000명이었다. 올해는 경제성장의 고용창출 효과가 이보다 더 줄어든다는 이야기다.


이는 5년 전인 2012년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2012년 우리 경제는 2.3% 성장하는 데 그쳤지만 일자리는 43만 7,000 개 늘어났다. 성장률 1%당 19만 개의 새 일자리가 생겼다.

관련기사



경제의 고용창출능력이 약화되는 것은 최근 계속되는 기업 구조조정, 수출 부진에 따른 제조업 인력 감축, 청탁금지법에 의한 음식점업 종업원 축소 등 경기적 요인이 주된 배경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으로 단순 조립업무가 기계 등에 대체되는 구조적 요인도 고용 없는 성장의 주된 요인이다.

정부도 이 같은 고용창출력 둔화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2일 기재부 시무식에서 “경기 둔화로 일자리 여건이 악화되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들의 삶이 더욱 고달파질까 걱정이 크다”며 “일자리 창출과 소득기반 확충 등을 통해 서민들의 고단함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릴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