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AI고양이' 논란일자 "AI 집중발생지 길고양이 포획·검사"

고양이 AI 발병 가정집 앞에 설치된 검역 초소 /연합뉴스고양이 AI 발병 가정집 앞에 설치된 검역 초소 /연합뉴스




경기 포천 가정집 고양이에서 H5N6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사례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는 데 대해 정부는 AI 집중 발생지를 중심으로 길고양이 일부를 포획해 AI 감염 여부를 검사할 계획이다.


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오는 13일까지 전국 주요 AI 발생지역인 11개 시군구와 서울 등 7개 광역시에서 각 10마리씩 길고양이 포획 및 폐사체 수거를 통해 AI 감염 여부를 검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I가 많이 발생한 세종시와 경기 안성·여주·이천, 충북 음성·진천 등으로 주로 AI 바이러스 검출 지역 반경 10km 내에서 포획할 예정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AI 발생농장 및 인근 관련 농장에 있는 개·고양이·돼지 등 1,839건에 대한 AI 항원 검사 결과 전부 음성이 나왔다.

관련기사



하지만 발생농장이 아닌 포천의 가정집에서 AI 감염 고양이 사례가 나오면서, 야생 고양이의 경우 조류 폐사체 등을 먹고 AI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집중 발생지를 검사할 방침이다.

이 차관은 “2014년 개에서 AI 항체가 검출된 사례가 있었는데 당시에는 가금농장에서 AI에 걸린 닭을 개한테 먹이로 주는 사례가 많았지만, 지금은 이 행위가 금지돼 농장에서는 아직까지 감염 사례가 없다”며 “그런 차원에서 봤을 때 고양이 감염 사례는 특이 케이스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획 기간(3~13일)과 검사 기간(평균 5일 소요) 등을 고려하면 조사 결과는 이달 중순 이후께 나올 전망이다.

앞서 정부가 AI 감염 고양이가 발견된 포천 인근 마을주민 142명과 감염 고양이 접촉자 12명에 대한 예찰 검사 결과 현재까지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세영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