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북핵에 강경론 만발..선제타격 힘 실릴 우려

트럼프 “北, 미국 타격할 핵무기 개발 못 할 것” 단언

사드로 돌아선 中 “한반도 군사충돌 주요 타깃” 부채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북핵 확대 신년사에 미국이 예상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며 강경론을 확산시키고 있어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코리 가드너 공화당 상원의원은 2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세컨더리 보이콧’(3자 제재)을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드너 상원의원은 CNN방송에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가속화는 세계 평화·안정뿐 아니라 미국 본토에도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다” 며 “북한에 눈감으면 트럼프 정부는 가장 크고 복잡한 안보 위협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군이 미사일방어 시스템을 시험 가동하고 있다/사진 = 미국 국방부미군이 미사일방어 시스템을 시험 가동하고 있다/사진 = 미국 국방부


트럼프 당선인도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북한이 미국 일부 지역에 닿을 수 있는 핵무기 개발의 최종 단계에 이르렀다는 주장을 했다” 면서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김정은 위원장이 1일 신년사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가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고 주장한 데 따른 것이다.


AP통신은 “트럼프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멈추게 한다는 것인지 단순히 북한의 핵 능력을 의심한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백악관 안보보좌관에 강경론자인 마이클 플린 전 장관을 내정하는 등 대북라인이 매파로 짜여져 트럼프 당선인이 북핵 저지를 위해 선제 타격 등 오바마 대통령보다 강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 승리 후 정보기관에 처음으로 요청한 기밀브리핑이 북한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트럼프 정부가 북핵 문제에 예상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과거 개인적으로 북핵 시설에 ‘정밀 타격(surgical strike)’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 해군이 한반도에 미사일방어시스템 구축에 나서고 있다며 북한이 ICBM을 시험 발사하면 격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ICBM 격추는 북한의 핵개발을 둔화시키고 효과적인 억지력을 보여줄 수 있다고 기대했다.

반면 중국측은 사드 배치와 트럼프 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며 긴장감을 부추겼다. 관영 환구시보는 이날 “올해 전쟁 또는 새로운 군사 충돌 측면에서 볼 때 서태평양이 가장 위험한 지역”이라며 “한반도는 주요 타깃으로 트럼프가 북한에 대해 초강경 자세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