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거시경제로 영역 넓히는 자본시장硏

금융안정센터 신설 등 조직개편

가계빚·美 금리인상도 연구·분석

"경제전반 보는 기관으로 탈바꿈"



금융투자업계 대표 민간 연구기관인 자본시장연구원이 가계부채 문제 등 거시경제 전반으로 연구·분석 범위를 확대한다. 자본시장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 전반을 두루 아우르는 종합 연구기관으로 탈바꿈하겠다는 취지다.

자본연은 6일 조직 개편을 통해 ‘금융안정센터’를 새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김재칠 펀드·연금 실장이 센터장을 맡아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불리는 가계부채를 비롯해 미국 금리 인상,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 취임에 따른 정책 기조 변화 등 대외변수를 연구·분석해 결과물을 내놓을 예정이다. 자본연의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올해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고 어느 때보다 외부 변수가 많아진 만큼 전담 연구 조직을 두게 됐다”며 “금융시장에서 더 많은 역할을 소화하는 종합 연구기관으로 변모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자본연의 변화는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영국계 투자은행(IB)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 퀀트전략본부장 등을 거치며 거시·실물경제를 모두 경험한 안동현(사진) 원장의 연구·분석 성향이 반영됐다. 안 원장은 평소에도 가계부채 증가 문제에 관심을 두고 금융당국에 대응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조언하고 있다. 자본연은 앞서 지난해 7월에도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내 가계부채 규모가 일본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보다 높아져 경제 위기를 촉발하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한편 자본연은 오는 25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을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