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1년 수능시험' 개편안 7월 발표

2015 개정교육과정 반영

통합사회·과학 도입여부 관심

교육부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을 오는 7월에 발표한다. 올해 중학교 3학년에 진학하는 학생들부터 치르게 되는 것으로 2015개정교육과정이 반영된다. 특히 교육부는 입시에서 수능의 역할과 방향을 전반적으로 검토해 개편할 방침이어서 수능 체제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9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이런 내용을 포함한 새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능의 역할부터 다시 검토해서 대학 입시의 문제인지, 우리 학생의 학력에 관한 문제인지 등 원천적이고 기본적인 문제부터 고민하고 있다”며 “다만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 사안인 만큼 국민 의견수렴을 거쳐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현재 수능개선위원회를 꾸려 정책연구를 하고 있으며 올해 5월부터 개편안에 대한 공청회를 열고 7월까지는 개편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2021학년도 수능을 개편하는 것은 2015개정교육과정이 내년 3월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기 때문이다. 2015개정교육과정은 고등학생이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수학·영어·통합사회·통합과학·한국사·과학탐구실험 등 7개 과목을 ‘공통과목’으로 공부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고교 교육과정에 선택과목이 많아 학생들의 지식편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통합사회는 기존 지리·일반사회·윤리·역사의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통합과학은 현재의 물리학·화학·지구과학·생명과학 등의 과목을 핵심개념 위주로 통합한다.

관련기사



현재는 문·이과 학생들이 사회와 과학 여러 과목들 중 선택해 수능을 치르지만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도입되면 모든 과목을 통합해 수능을 치러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회와 과학의 한두 과목만 공부해서는 좋은 성적을 내기 어렵다. 다만 학생들이 공부해야 할 과목이나 범위가 현재보다 훨씬 커져 학습부담이 커질 수 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