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평창올림픽·패럴림픽에 올 9,372억 투입

개최·준비 지원예산 3배 늘려

대회 운영·붐업 조성에 '올인'

1115A34 평창올림픽·패럴림픽 관련




정부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을 앞둔 마지막 해인 올해 총 9,372억원의 예산을 대회 준비에 투입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평창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범부처 올림픽 관련 예산으로 9,372억원을 책정했다고 10일 밝혔다. 경기장·대회교통망 등의 시설비 지원은 전년 대비 55% 줄이는 대신 대회 개최·준비 지원 예산을 3배로 늘려 1,666억원을 지원한다. 경기장이나 교통 등은 이미 완공됐거나 완공을 앞두고 있는 곳이 많은 만큼 대회의 매끄러운 운영과 선수단 성적, 붐업 조성에 ‘올인’하겠다는 뜻이다.


1,666억원의 예산 중 가장 많은 돈이 들어가는 곳은 조직위원회의 대회 운영사업 지원 항목이다. 요즘 조직위의 업무는 올림픽 모의고사인 테스트이벤트(사전 점검 대회) 운영에 집중돼 있다. 특정 종목 테스트이벤트가 열리면 거의 모든 인원이 해당 대회에 매달리는 식이다. 올해는 특히 오는 16·17일 극동컵 국제스키대회를 시작으로 4월까지 20개가 넘는 올림픽·패럴림픽 테스트이벤트가 잇따라 열린다. 테스트이벤트는 시설과 운영능력을 점검하는 대회지만 그동안 가장 큰 문제로 지적돼온 올림픽 열기 조성을 위한 기회이기도 하다. 문체부는 조직위의 테스트이벤트 운영과 전반적인 올림픽 홍보활동에 올 한 해 66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밖에 D-365, D-100 등 주요 계기별 문화행사 등 문화올림픽 지원에 387억원, 가상현실·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 올림픽 실현에 114억원을 지원한다. 또 강원도 특구 관광개발, 도시경관 개선 등에 503억원을 투입한다.

관련기사



선수지원에는 395억원이 투입된다. 2010 밴쿠버대회에서 동계올림픽 사상 최고 성적(금 6, 은 6, 동메달 2개·종합 5위)을 낸 우리나라는 평창에서 이 성적을 뛰어넘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318억원이던 선수지원금을 올해 395억원으로 늘린다. 올림픽 경기장에서의 훈련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등 사전적응 훈련 지원으로 홈 어드밴티지를 극대화하는 게 올해 선수지원 계획의 핵심이다. 최근 기량이 급성장한 썰매 종목의 경우 홈 이점이 가장 큰 종목이라 훈련지원만 제대로 된다면 멀티 금메달도 충분하다는 게 체육계 시각이다.

문체부는 또 지난달 조세특례제한법과 평창올림픽법이 개정되면서 조직위의 재정난 해소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세금 환급과 각종 수수료 면제, 각종 사업 승인으로 360억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조직위에 돌아가는 체육진흥투표권 수익배분금을 245억원 증액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조직위는 이날 현대백화점그룹과 평창올림픽 공식 지원협약을 체결해 현금 기부 등의 형태로 지원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최순실 국정농단’ 여파로 기업 후원이 사실상 끊기면서 조직위의 스폰서십 금액은 목표액에서 1,000억원 이상이 부족한 상태였다. 문체부는 여전히 ‘제로’ 상태인 조직위의 공공·금융기관 후원 유치를 위해 국회 등과 지속적으로 협업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